미국, 호주 무인도에 관세 10% 부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남극 무인도에도 관세를 부과해 '펭귄에게까지 관세를 물리냐'라며 논란이 되고 있다.
2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 상호관세 부과 대상국을 발표하면서 인도양 남부에 있는 화산섬이자 무인도인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 상호관세 10%를 부과했다. 해당 섬은 남극대륙에서 약 1700㎞ 떨어져 있으며, 높이 2745m의 활화산인 '모슨 피크'가 있는 허드섬과 맥도널드섬으로 구성돼 있다.
1947년 호주에 편입돼 현재는 호주의 7개 '외부 영토' 중 하나인 이 섬은 호주 퍼스에서 배를 타고 꼬박 2주 동안 항해해야 닿을 수 있다. 사람은 단 한 명도 살지 않으며 대신 해안 주변 습지를 중심으로 펭귄과 바다표범 등이 서식하는 유네스코(UNESCO) 세계자연유산이다.
가디언은 세계은행 자료를 인용해 미국이 이 섬에서 2022년 140만달러(20억5000만원) 상당을 수입했으며, 대부분 '기계 및 전기' 품목이었지만 정확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황당한 관세 부과 대상 지역은 또 있다. 미국은 인구가 2000여명에 불과한 호주의 노퍽섬에 호주에 매겨진 기본 관세율(10%)보다 3배가량 높은 29%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동부 해안 도시 시드니에서 1600㎞ 떨어진 이 섬은 2023년 65만5000달러(9억5000만원)의 제품을 미국에 수출했는데, 이 중 41만3000달러(6억원)어치가 가죽 신발이었다.
호주 총리도 황당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이날 "노퍽섬이 미국의 거대 경제와 무역 경쟁자인지 잘 모르겠다"며 트럼프 관세 전쟁의 허점을 지적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 외에도 북극 인근 노르웨이의 영토인 얀마옌섬과 스발바르 제도도 10%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이 됐다. 얀마옌에는 군대와 기상관측소 직원 등 20명 안팎의 인원 외에 상주인구는 없는 지역이고, 북극곰이 사는 스발바르 제도의 인구는 3000명에도 미치지 못한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