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인플루언서들 中 공장 직거래 홍보
"미국에서 비싸게 팔리는 제품 싸게 사라"
"미국에서 100달러가 넘는 룰루레몬 레깅스가 중국 공장에서는 단돈 5달러입니다."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에 올라온 중국 인플루언서의 영상에 담긴 내용이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최근 틱톡에는 미국 브랜드 제품의 원가를 폭로하고 중국 공장 직거래를 독려하는 중국 인플루언서들의 영상이 잇달아 게시되고 있다. 이들은 "우리가 제시하는 가격을 믿지 못할 것"이라며 미국 유명 브랜드의 제품을 미국에서 판매되는 가격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중국 공장에서 직접 주문할 수 있다고 홍보했다.
영상에 등장하는 브랜드는 룰루레몬부터 나이키(Nike)까지 다양하다. 루이비통, 프라다 등 유명 명품 브랜드의 가방도 중국에서 만든 뒤 이탈리아와 프랑스로 배송돼 로고 등을 부착한 후 비싸게 팔린다는 내용의 영상도 찾아볼 수 있다.
한 인플루언서는 "에르메스의 버킨 백이 중국에서 만들어지고 있다"며 3만8000달러(약 5417만원)에 판매되는 에르메스의 버킨백이 중국의 공장에서 1400달러(약 190만원)에 제조 가능하다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그는 가죽 가방을 들고 재료가 되는 가죽부터 인건비까지 제조 과정별 비용을 유창한 영어로 설명한 뒤 "로고만 없고 에르메스 버킨백과 똑같은 품질의 가방이 필요하면 우리에게 구매하라"는 제안까지 했다.
이런 영상은 '중국이 진실을 폭로했다' '관세를 우회하는 방법' 등의 제목으로 수백만의 조회 수를 기록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측이 미국 소비자를 겨냥한 SNS 심리전을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145% 관세를 부과하는 등 통상 전쟁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가격 폭등의 직격탄을 맞게 된 미국 소비자들을 노렸다는 것이다.
실제 영상에서 중국 인플루언서가 소개한 공급업체를 통해 직접 주문하는 방식이 관세를 우회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중국산 제품은 저렴한 가격에 생산되고 있는데, 판매업체 폭리와 관세 인상으로 인해 미국 소비자들은 훨씬 비싸게 구매할 것임을 보여주면서 미국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럿거스대 네트워크 연구소의 알렉스 골드버그 선임 고문은 블룸버그에 "틱톡을 이용해 중국 제조업에 더 저렴하고 쉽게 접근하는 법을 홍보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관세 정책을 약화시키려는 계산된 시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현재 미국 내의 틱톡 이용자 수는 1억 70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틱톡은 미국에서 인기가 높지만 미국 내 여론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심을 받아왔다. 이에 국가 안보 위협 우려가 제기돼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일명 '틱톡 금지법'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