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은행, 책무구조도 전담인력·법무팀 확대
신한은행 내부통제 디지털화가 핵심
우리은행 인력 및 시스템 강화
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강조
올해 1월부터 금융지주와 은행이 책무구조도를 시행 중이다. 책무구조도 운영은 은행의 내부통제 현황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책무구조도 제도가 금융사의 주요 업무에 대해 최종 책임자를 사전에 특정하는 제도인 만큼 내부통제와 관련이 있어서다. 주요 은행은 내부통제 전담 인력과 관련 법무팀을 확대했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세부적으로는 불법·부당한 지시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강화하거나, 행원들의 내부통제 문화를 정착시키려는 방침으로 나뉜다.
내부통제 '실효성' 정비하는 신한·우리
신한은행은 지난해 금융권 최초로 '책무구조도'를 도입했다. 키워드는 '내부통제 디지털화'이다. 책무구조도 기반의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 등 시스템을 고도화시키는 방식을 채택한 점이 눈에 띈다.
대표적으로 은행 내 그룹에서 신규 사업을 추진할 때 '내부통제 자체 점검 프로세스'를 신설했다. 이는 원칙적인 수준의 내부통제 운영 대신 그룹별 맞춤형으로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미다.
AI 기술을 비정형데이터에도 활용한다. 비정형데이터란 이메일, 보고서, 금융상품 정보, 업무규정, 공문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말한다. 이와 같은 정보를 수집해 검색 모델 등 선제적으로 내부통제 점검 체계를 고도화하겠다는 설명이다.
내부통제 밸류체인 수준도 한 단계 끌어올린다. 행원 교육→내부통제 점검→내부통제 개선 절차를 기존보다 강화했다. 이를 통해 올해는 '전 은행 내부통제의 완성도를 높이는 한 해'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우리은행은 조직 전반에 책무구조도 중심의 내부통제 점검 인력을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먼저 내부통제를 총괄하고 관리 조치 이행 관리와 점검을 담당하는 '책무관리팀'을 준법감시실에 신설했다. 구체적으로 은행장의 지배구조법상 총괄 관리의무 이행 지원을 강화했다.
또 영업 현장에 내부통제관리역-내부통제전문역-내부통제지점장을 배치했다. 3중으로 내부통제를 관리하는 셈이다. 향후 책무구조도 제도 안착 현황과 관련 사례 등을 반영해 은행장 및 임원의 책무관리를 지원하는 전산시스템인 '책무관리시스템'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올해 우리은행은 전사적으로 내부통제 강화에 집중하는 분위기다"라며 "단순히 내부통제 인적 조직을 강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스템 자체를 새로 구축한다"고 설명했다.
'내부통제 문화' 강조하는 농협·하나
농협은행과 하나은행은 결이 다르다. 내부통제 '문화' 자체를 개선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농협은행의 경우 책임 체계 내실화를 통해 내부통제 문화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 금융사고 발생 시 본부장의 책임이 모호했으나, 올해부터 관할 사무소에서 공시 대상 금융사고(금융사고 금액이 10억원 이상)가 2번 이상 발생하면 본부장에게 직권 정지 및 대기발령 조치를 내린다.
또 전문성 강화를 위한 '내부통제전문가 인증 제도'를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도입한다. 사무소장과 감사자 등은 문제은행 방식의 컴퓨터 시험을 통해 내부통제 자격 인증을 취득해야 한다. 내년부터는 전 임직원으로 확대 시행한다. 나아가 인사 가점제도에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하나은행 역시 내부통제 문화를 강화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최근 '임직원이 가져야 할 직업윤리와 매너' 에티켓 북을 제작해 전 직원에게 배포했다. 퀴즈, 비대면, 찾아가는 교육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임직원의 내부통제 의식을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또 책무구조도 제도 안착을 위해 대표이사와 임원의 내부통제 관리 의무를 위한 교육과 컨설팅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책무구조도 전산시스템'도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은 설명하지 못했다.
지금 뜨는 뉴스
KB국민은행은 전사 '책무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 준법감시 산하에 '책무관리Unit'을 만들어 책무구조도 관리 조치 이행 점검과 사후 관리를 담당하게 된다. 이와 함께 구성원별로 '내부통제 업무매뉴얼'을 만들었다. 임원뿐만 아니라 각 부점장의 효과적인 내부통제 관리 활동을 돕기 위해 '부점장 내부통제 업무매뉴얼'도 함께 운영 중이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