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4일 서울 예술의전당 공연…멘델스존 '무언가'와 '엄격변주곡', 슈베르트의 즉흥곡 Op.90 등 연주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30대의 나이에 요절한 또 한명의 천재음악가 멘델스존. 매번 결혼식장에서 울려 퍼지는 '결혼 행진곡'이나 바이올린협주곡 등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음악가다. 이탈리아 출신 피아니스트 로베르토 프로세다는 '멘델스존 전문가'로 손꼽힌다. 그가 클래식 전문 음반사 '데카'에서 발매한 '무언가(無言歌)'는 현존하는 최고의 앨범이란 평가를 받았으며, 프랑스 르몽드나 영국 클래식 FM매거진으로부터도 극찬을 받았다.
오는 23일(청주 예술의전당), 24일(서울 예술의전당) 첫 내한공연을 앞둔 프로세다를 이메일로 먼저 만났다. 한국 관객들과의 첫 만남에서 그가 선보일 곡은 멘델스존의 '무언가'와 '엄격변주곡', 슈베르트의 즉흥곡 Op.90, 베토벤의 소나타 32번 Op.111 등이다. 그는 멘델스존의 작품에 대해 "고전적인 완벽성과 서정성이 완벽하게 섞여있는 음악"이라며 "절대 과장되거나 과도하게 표현된 법이 없으며, 그 어떠한 음도 불필요하지 않게 목적에 맞게 자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들려줄 '무언가'에 대해서도 "서로 다르게 깎여진 무수한 면들이 완벽한 원형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 다이아몬드와 같다"고 말했다.
멘델스존을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 프로세다는 멘델스존의 모든 피아노 독주곡들을 연구하고, 연주하고, 녹음했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멘델스존이 쓴 7000여개가 넘는 편지를 찾아 읽었고, TV 다큐멘터리 '알려지지 않은 멘델스존' 제작에도 관여했다. 멘델스존의 삶의 행로를 따라가면서 인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나가는 셈이다. 프로세다는 "멘델스존 작품에서는 극적인 부분과 감정의 강도 등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며 "그의 작품을 해석할 때, 각 음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동시에, 거기에 담긴 동적인 신호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고 말했다.
"멘델스존은 위대한 작곡가들 중에서도 가장 저평가됐다. 유태인 작곡가로서 독일 나치 점령시기에 그의 작품이 거부됐던 것도 하나의 원인이다. 나는 위대한 작곡가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강렬함과 힘을 멘델스존 작품에서도 느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프로세다는 3세 때 피아노를 치기 시작해, 10세에 이탈리아 레스피기 국립음악원에 입학했다. 이후 슈베르트 콩쿠르, 모차르트 콩쿠르, 카사그란데 콩쿠르 등 세계 유수의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 입상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처음 그의 아버지가 피아노를 집에 들여놓았을 때를 프로세다는 "고풍스러운 업라이트 피아노에서 내가 처음 했던 일은 장난감 목수 공구 세트에 있던 대패로 피아노 코너 부분을 둥글게 다듬는 일이었다"며 장난스럽게 회상했다. "이후 나는 피아노의 음이 가진 잠재력에 집중하게 됐고, 멜로디와 음악을 연구하게 됐다. 14세가 됐을 때는 작곡이 아닌 연주에 집중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피아노 외에도 저술활동과 다큐멘터리 연출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프로세다는 "관객들이 보다 온전한 방법으로 음악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연주자의 역할"이라고 믿는다. "클래식 음악의 연주를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는 문화적·지적 수준을 갖춘 관객들이 적다는 게 요즘 시대의 공통적인 문제점"이라며 그는 "현대의 연주자들은 관객들과 다양한 방법으로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가 음악에 대해 책을 쓰고, 방송에 출연해 작품을 설명하고,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이유다. "위대한 음악의 아름다움과 강렬함을 관객들과 함께 나누는 것"이 음악가로서 프로제다의 최종 목표다.
조민서 기자 summ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