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세계, 틈새시장 '슈퍼마켓 사업' 강화

신세계가 슈퍼마켓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소형 이마트식' 슈퍼마켓 사업을 통해 기존 대규모 점포만을 고집하지 않고 부지 매입이 가능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소형 점포를 개설, 틈새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겠다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13일 신세계 이마트에 따르면 신월, 수서, 광명, 군포 등 기존 5개 점포 외에 최근 서울 동작구 상도동과 동작구 대방동, 송파구 가락동에 330㎡(100평) 안팎의 소형 점포 3곳 부지를 확보했으며, 연내에 '소형 이마트' 점포를 개장키로 했다.

상도점의 경우 동작구 상도동 브라운스톤 아파트단지 상가 안에 슈퍼마켓 형태의 소형 점포를 오픈할 예정이며, 다른 두 곳의 경우에도 상가 일부 공간을 임차하는 방식으로 점포를 운영하게 된다.

평균 3300㎡(1000평) 이상 규모의 대형마트를 운영해오던 신세계가 최초로 100평도 안되는 규모의 소형 점포를 열게 됨에 따라 신세계는 그간 홈플러스가 '익스프레스'라는 이름으로 운영해오던 것과 비슷한 형태로 소형 슈퍼마켓 사업을 본격 시작하게 됐다.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660㎡(200평 ) 미만 점포를 슈퍼마켓으로 분류하고 있다.

신세계는 수도권에서 대형마트 출점에 필요한 부지 매입이 더이상 어려워지자 기존 점포에 비해 작은 규모로 수서, 신월, 광명, 여의도, 김포, 이문점 등을 운영해왔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 '신세계도 슈퍼마켓 사업에 뛰어드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으나 신세계 측은 "점포 형태를 다양화하는 차원이지 슈퍼마켓이 아니다"라며 부인해왔었다.

그러나 이번에 아파트 단지 상가 내에 일반 슈퍼마켓과 거의 다를 바 없는 형태의 소형 점포를 오픈함에 따라 더 이상 슈퍼마켓 사업 진출을 부정할 수 없게 됐다.

신세계의 슈퍼마켓 사업 진 출에 따라 동네 슈퍼마켓 상권을 먼저 차지하기 위한 업계간 경쟁도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대형마트 업계에서 신세계 이마트를 바짝 추격하고 있는 홈플러스의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는 상품 구색을 기존 대형마트와 차별화해 간편식, 소용량 상품을 위주로 구성했으며, 배달서비스와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도 제공해 매출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홈플러스는 이 익스프레스 사업을 통해 지난해 연간 40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 대비 50% 증가한 것이다. 홈플러스그룹 이승한 회장은 이 같은 점포를 올해 안에 100개 이상 신규 출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롯데역시 대형마트보다는 작고 슈퍼마켓보다는 큰 규모인 대형슈퍼마켓(SSM: Super Supermarket) 형태로 '롯데슈퍼' 사업을 2001년부터 시작해 현재 110개 점포를 운영 중이다. 롯데슈퍼는 지난해 매출액이 7824억 원으로 전년 대비 45.5% 증가하는 높은 신장세를 보였다.

GS리테일도 대형슈퍼마켓인 'GS수퍼'를 107개 운영 중디다. 지난해 87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유통업계에서 롯데의 맞수이자 대형마트 업계 1위인 신세계가 슈퍼마켓 사업에 본격 뛰어들게 되면서 슈퍼마켓 사업에서도 혼전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이같은 대형 유통업체들의 동네 상권 장악이 가속화하면서 주택가에서 그동안 슈퍼마켓을 운영해온 자영업자들의 반발도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