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尹, 황상무 시민사회수석 사의 수용…사퇴논란 엿새 만(종합)

시계아이콘01분 1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총선 관련 부정적 영향 고려 관측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비서관이 20일 사퇴했다. MBC를 포함한 대통령실 출입 기자들과 오찬 자리에서 1980년대 군 정보사령부가 자행한 언론인 회칼 테러 사건과 5·18 민주화운동 배후 의혹 등을 언급한 사실로 논란에 휩싸인 지 엿새 만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황 수석 사의를 수용했다고 대통령실이 언론 공지로 밝혔다. 다만 황 수석이 언제 윤 대통령에게 자진 사퇴 의사를 전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실제로 황 수석은 18일 이관섭 대통령실 비서실장 주재 회의에 정상적으로 참여하는 등 업무를 수행했고, 전날에도 정상 출근했다.


앞서 MBC는 지난 14일 황 수석이 일부 출입기자들과 가진 식사 자리에서 "MBC는 잘 들으라"라고 한 뒤 부적절한 발언을 했다고 보도했다. 이 자리에서 황 상무는 "내가 정보사 나왔는데 1988년에 경제신문 기자가 압구정 현대아파트에서 칼 두 방이 찔렸다"고 언급했다.


황 수석이 말한 사건은 1988년 8월 경제신문 사회부장이었던 오홍근 기자가 자신의 집 앞에서 괴한들에게 회칼로 습격을 당해 허벅지가 깊이 4㎝, 길이 30㎝ 이상 찢길 정도로 크게 다친 이른바 '정보사 회칼 테러 사건'이다. 당시 수사 결과 괴한들은 군 정보사령부 소속 현역 군인들로 군을 비판하는 오 기자의 칼럼에 불만을 품은 상관들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


尹, 황상무 시민사회수석 사의 수용…사퇴논란 엿새 만(종합)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황 수석의 발언이 보도되자 비판 여론이 확산했다. 더불어민주당, 녹색정의당 등 야권과 한국기자협회를 비롯한 언론단체는 황 수석 해임 또는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특히 고(故) 오홍근 기자의 유족들도 언론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황 수석에 대한 해임을 요구했다.


이에 황 수석은 지난 16일 언론 공지를 통해 "저의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사과드린다"고 사과하면서도 "앞으로는 공직자로서 언행을 각별히 조심하고, 더 책임 있게 처신하겠다"고 사실상 사퇴 요구를 거부했다. 대통령실도 '황 수석이 스스로 사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문화일보의 18일 보도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한 바 있다.


그러나 총선이 불과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황 수석의 부적절한 발언이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수도권 등에서 여론이 악화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여당 지도부와 수도권 출마자들을 중심으로 황 수석의 거취 압력이 강해졌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역시 지난 17일 황 수석에 대해선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발언이고, 본인이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셔야 한다"고 사퇴를 압박한 바 있다. 한 위원장은 전날에도 관련 논란에 입장 변화가 없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