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연체채권 회수 시스템 구축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4초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국가 조달계약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국가 연체채권 회수에 활용된다. 기획재정부와 조달청은 15일 국가채권 중 미납되고 있는 연체채권의 회수를 지원하기 위해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 내에 '연체채권 회수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번 시스템은 국가채권을 연체중인 기업이 받게 될 조달대금 정보를 각 부처 국가채권담당자들이 미리 검색 할 수 있도록 했다. 예컨대 국가채권담당자인 A부처 공무원 B 씨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연체기업인 C 기업의 연체채권을 회수하기 위해 나라장터의 '연체채권 회수지원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조달청에서 지급한 전용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C기업의 기업명과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해 검색하면 된다. 검색 그 결과 C기업이 현재 D부처의 조달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500만원의 조달 대금을 D부처로부터 받게 될 것이라는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국세 등에 비해 체납자의 소득에 대한 정보파악이 어려웠던 국가채권 분야에 있어 소득 정보를 새롭게 제공하는 점에서 채권회수에 어느 정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재부는 조달청과 함께 이번 시스템을 국가예산회계시스템(d-Brain)과 연계해 실시간으로 연체기업의 조달대금 정보를 검색·활용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연체채권 회수업무에 민간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연체채권의 회수율을 높이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