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포스코, 카자흐스탄 티타늄 합작개발

정준양 회장, 현지 합작사 설립 위한 MOA 체결
철강보다 10배 비싼 고급금속
일본 철강사 주도 국내시장 수입대체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포스코가 카자흐스탄에서 고급 비철금속인 티타늄 소재 개발에 본격 나선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29일 카자흐스탄 UKTMP와 티타늄 슬래브 생산 업체를 합작 설립하는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이어 30일에는 카림 마시모프 카자흐스탄 총리를 만나 합작 사업에 적극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정 회장은 이날 “카자흐스탄의 풍부한 자원은 개발 가치가 대단히 높으며, 티타늄 합작사업을 시작으로 카자흐스탄의 자원 및 인프라 개발에 지속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림 총리도 “합작사업을 추진해 준 포스코에 깊은 신뢰와 감사를 표한다”면서, “향후 카자흐스탄의 사회간접자본 (SOC)구축 및 원료개발 분야에 포스코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준다면 카자흐스탄 정부도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합의각서에 따르면 포스코와 UKTMP는 50%씩 지분을 투자 해 카자흐스탄 동부, 우스트 카메노고르스크 지역 에 산업용 순수 티타늄 슬라브 생산 공장을 건설하게 된다.


소재인 티타늄 스펀지(티타늄 원석을 가공해 스펀지 형태로 만든 것)는 UKTMP가 공급하고, 여기서 생산된 슬래브는 한국으로 들여와 포항제철소의 열연 및 스테인리스 공장에서 판재로 만들어진다.


티타늄은 바닷물과 부식에 강하고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아, 조선용, 원자력발전, 담수설비 및 화학 플랜트, 항공기 엔진 및 프레임 등 에 사용되는 고급 비철금속이다. 철강재보다 10배 이상 비싼 t당 4000~5000만원 수준에 거래되지만 그동안 국내에는 생산설비가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다.


포스코는 “이번 합작이 성사되면 우리나라는 일본, 러시아, 미국에 이어 세계 4번째로 티타늄 판재의 일관 생산체제를 구축하게 된다”라면서 “일본 철강사 들이 주도해온 국내 티타늄 시장에 수입대체는 물론 가격 안정화와 납기 단축 등으로 수요산업 경쟁력 확보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포스코는 지난해 9월부터 기존 설비를 활용해 티타늄 압연 테스트를 실시해 공정별 필수기술을 확보했으며 시험생산 제품을 일부 고객사와 연계하여 상업생산 테스트도 완료했다.


티타늄 제품은 포스코가 보유한 철강설비를 일부 보완 투자하면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포스코는 내년 상반기까지 기술 개발 및 설비 보완을 끝낸 후 2010년 하반기부터 상업생산에 들어가 국내 시장은 물론 중국, 유럽 등 해외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