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고신뢰 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과 파트너십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딥엑스가 글로벌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다. 그래픽처리장치(GPU)의 대체재로 꼽히면서도 실제 사용 폭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있었지만, 우주·바안 등 다양한 분야서 쓰임새를 넓히면서 시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딥엑스는 10일 경기 성남시 판교 본사에서 지능형 엣지 소프트웨어 분야의 글로벌 선도 업체로 꼽히는 미국 윈드리버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 공동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윈드리버는 자동차·항공우주·방산·의료·통신 등 최고 수준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산업군에서 40여년간 주요 장치들과 시스템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왔다.

윈드리버는 독일·프랑스·영국·일본·중국·한국 등 전 세계 주요 기술 거점에 지사를 두고, 고신뢰 산업군에 실시간 시스템 설계·운용을 지원하고 있다. 대표 제품인 브이엑스웍스(VxWorks)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화성 탐사 실시간 운영 체제 등에 탑재된다.
두 회사는 딥엑스의 AI 반도체와 윈드리버의 실시간 운영 체제(RTOS) 및 가상화 플랫폼 '헬릭스'를 결합해 항공우주·방위산업·로봇공학 등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산업 분야 솔루션을 개발하기로 했다. 딥엑스의 초저전력 AI 반도체와 윈드리버의 고신뢰 실시간 운영체제를 통합해 높은 안정성과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엣지 환경에 최적화된 AI 시스템을 공동 개발한다는 것이다. 특히 물리적 제약이 커 정밀하고 안전한 운용이 필수적인 산업용 기기에 AI 기능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간 정밀한 통합을 구현하며 차세대 엣지 AI 시장에서 새로운 기술 표준을 제시해 북미·유럽 등으로 시장을 확대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김녹원 딥엑스 대표는 "윈드리버의 보안성, 실시간 시스템에 대한 노하우와 딥엑스의 초저전력 엣지 AI 플랫폼이 만나면 항공우주·방산 등 엣지 AI가 본격적으로 진입하지 못했던 영역까지 확장할 수 있는 강력한 기술 조합이 될 것"이라고 했다.
지금 뜨는 뉴스
아비짓 신하 윈드리버 전략 및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 총괄 수석 부사장은 "딥엑스의 고성능 AI 반도체와 윈드리버의 검증된 엣지 기술로 AI를 발전시킨다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산업 환경에서 놀라운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