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메르스 공포]범정부 메르스 대책본부 출범…"소 잃고 외양간 고치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국민안전처, 4일부터 9개 부처로 포함된 실무지원 기구 구성·운영...시민단체 "안일한 대응으로 불신 자초" 비난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초동 단계에서 중동호흡기증후근(MERS·메르스) 확산 방지 대책에 소홀했다는 정부가 뒤늦게 범정부 대책 기구를 구성하겠다고 나섰다.


2003년 참여정부 당시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근) 유행때 환자 발생 즉시 민첩하게 대응해 잘 막았다는 사실과 비교하면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3일 정부는 국민안전처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범정부 메르스 대책 지원본부' 를 구성·운영한다고 밝혔다.


현재 메르스 관련 대책은 보건복지부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에서 총괄하고 있다.

새로 구성된 범정부대책본부는 '중앙 메르스 관리대책본부'의 활동을 범정부적으로 지원하고 확산 방지를 위해 9개 부처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중앙 메르스 관리대책본부' 협조요청 사항 지원, ▲메르스 확산방지를 위한 각 부처 역할 조정 ▲지자체 협조요청 사항 파악 및 지원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안전처 외에 교육부, 외교부, 국방부, 행정자치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경찰청 등이 참가한다.


지원본부는 안전처 중앙재난상황실에 설치되며 각 부처 파견직원으로 실무반을 편성 운영하고 수시로 관계부처 국장급 회의를 개최해 지원 및 협조에 나선다.


우선 이날 오후2시에 14개 관련 부처 및 메르스 감염 지역 3개 지자체(서울, 경기, 충남)가 참여하는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한다.


안전처는 이날 소방·해경 등 현장대원의 메르스 감염예방을 위해 보호장비 착용, 구급차 소독, 선박 방역 등을 지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의 이같은 대응은 시민사회단체 등으로부터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실제 안전사회시민연대 등 15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메르스 확산차단과 국민안전을 위한 시민공대위'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의 안일한 대처를 규탄할 예정이다.


이 단체들은 기자회견에서 국민의 불안감이 줄이기 위해 정부가 감염 병원 및 경로 등 정확한 경로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 감염자 접촉 차단·역학조사·격리 등에 총력을 다할 것, 투명하고 정확한 전염병 대처 방안 마련, 시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보건 방역체계와 대응 매뉴얼 마련 등을 촉구한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