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총리 내정' 황교안, 법무부 장관 재직 시절 논란 보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총리 내정' 황교안, 법무부 장관 재직 시절 논란 보니… 황교안 국무총리 내정자. 사진=아시아경제DB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황교안 법무부 장관(58)이 신임 국무총리 후보자로 내정된 가운데 과거 그와 관련해 제기됐던 각종 의혹들이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21일 오전 춘추관 브리핑에서 이 같은 신임 총리 지명인사를 발표했다. 신임 총리 지명은 이완구 전 총리의 사표를 박 대통령이 재가한 지 25일 만에 이뤄졌다.


김 수석은 "지금 우리의 현실은 경제 재도약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과거부터 지속돼온 부정과 비리, 부패를 척결하고 정치개혁을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황 내정자는 대구고검장, 부산고검장 등 검찰 내 주요보직을 거쳤고 박근혜 정부 출범 후 법무부 장관으로 직무를 수행해오면서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가 깊고, 사회전반에 부정부패를 뿌리 뽑아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고 정치개혁을 이룰 수 있는 적임자"라고 발탁 배경을 설명했다.

황 내정자는 서울 출신으로 경기고와 성균관대 법대를 나와 사법시험 23회로 공직에 진출해 28년간 검사로 근무했다. '국가보안법' 해설서를 낼 정도로 공안업무에 정통한 대표적인 공안검사로 조용하면서도 강한 카리스마를 지닌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공안검사를 국무총리에 내정한 것은 사정정국을 조성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어 야당의 반발로 인한 험난한 인사청문회가 예상된다.


황 내정자는 '전관예우' '병역면제' '장남 불법 증여 및 증여세 탈루' '삼성 X파일 봐주기' 등의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이에 이언주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새누리당은 정치쟁점이 생길 수밖에 없는 총리 후보자를 내정해놓고 정치공세화하지 말라는 모순된 주장을 하지 않기 바란다"고 말했다.


김영록 수석대변인도 "대통령의 불통정치로 인한 국론 분열을 치유하고 국민통합의 국정운영을 펼쳐야할 때 황교안 총리 내정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회전문 인사"라고 강조했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