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최경환·라가르드 "금융불안 대응한 국제공조 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미국의 금리인상 등에 따른 글로벌 금융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안전망 등 국제공조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


최 부총리는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와 IMF·세계은행 춘계회의에 참석, 라가르드 총재와 만나 "국제사회의 일관된 견해 도출을 위해 IMF가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금융불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본이동관리 등 거시건전성 조치에 대한 국제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금융 불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거시건전성 조치를 국제적으로 논의해 봐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라가르드 총재는 깊은 공감을 표시하고 "글로벌 금융안정 등을 위한 금융안전망 구축 등 국제공조 필요성에 대해서도 인식을 같이 한다"고 답했다.

또 최 부총리는 2010년 합의된 IMF 쿼타개혁 및 지배구조개혁(안)의 이행이 아직도 지연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개혁안의 신속한 이행을 위한 IMF의 역할을 강조했다. IMF 쿼타개혁은 중국, 브라질, 인도 등 신흥국의 발언권을 강화하기 위해 선진국 지분의 6% 이상을 신흥국에 넘겨준다는 구체적 합의가 진전됐으나, 이후 미국 의회의 승인 등에서 멈춰있는 단계다.


이날 최 부총리는 조 호키 호주 재무장관을 만난 자리에서는 세계 각국의 인프라 투자를 지원하는 '글로벌 인프라 허브(GIF)'에 한국 정부가 앞으로 4년간 200만달러를 지원하는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또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설립을 위한 협상 과정에서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기구가 될 수 있도록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 가기로 했다.


호키 재무장관은 "앞으로 구성될 GIF 자문위원회에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인재들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AIIB 협상에 있어 한-호주 양국이 밀접한 관계를 유지(stick together)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두 사람은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이 신흥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spill-over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세계경제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선진국들이 IMF 쿼터개혁, 통화스왑 등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양국이 협력해 가자"고 뜻을 모았다.


최 부총리는 밤방 보로드조네고로 인도네시아 재무장관을 만나서는 아시아 지역의 거시경제 움직임을 감시·분석하는 역내감시기구(AMRO)와 아세안(ASEAN)+3(한중일)과 관련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급격한 자본유출입 등 금융불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거시건전성 조치에 대한 국제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인식도 공유했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