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최경환, S&P·CNBC 만나 "韓 경제 봄바람" 강조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신용등급 IMF 이전 수준으로도 안 올려줘"..경제수장이 직접 압박

최경환, S&P·CNBC 만나 "韓 경제 봄바람" 강조한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이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제이콥 루 미 재무장관과 양자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사진 제공 : 기획재정부)
AD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방미 중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국 경제에 박한 평가를 내리는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를 만나 신용등급 상향을 부탁한다. 미국 CNBC 방송과도 인터뷰할 계획이다.


16일 기재부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17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국제신용평가사 S&P의 니라즈 사하이 대표, 신용평가 총괄담당자 등과 면담한다.

송인창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국장은 "S&P가 한국 신용등급을 1997년 외환위기 이전 수준으로도 올려주지 않고 있다"며 "최 부총리는 이번 S&P와의 면담을 통해 왜 한국의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P는 지난 2012년 9월 이후 한국 신용등급을 A+로 유지하고 있다. 이는 위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다른 평가사인 무디스(Aa3)와 피치(AA-)에 비해 한 단계가 낮다.

앞서 한국은 외환위기 이전인 1995년 5월에서 1997년 8월 사이 S&P로부터 AA- 등급(상위 네 번째 등급)을 받은 바 있다.


이런 가운데 S&P는 지난해 9월 한국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2년 만에 안정적(Stable)에서 긍정적(Positive)으로 높였다. S&P가 부여한 '긍정적' 전망은 앞으로 6∼24개월 내에 등급을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전망 수정 후 7개월여가 지난 상황에서 최 부총리는 한국의 경제수장으로서 S&P를 직접 압박, 등급 상향 시점을 최대한 앞당기겠다는 의지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국가 신용등급은 성장 잠재력 등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여건)을 주로 평가해 매긴다"며 "한국의 펀더멘털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은 측면이 있기 때문에, 최 부총리가 이 부분을 적극 어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 부총리가 나섰다고 해서 신용등급 상향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S&P는 한국 등급의 상향 조정 가능성이 최소한 3분의 1 이상이라고만 밝히고 있다.


기재부 국제금융과 관계자는 "신용평가사들이 지속적으로 각국의 경제지표를 모니터링하면서 신용등급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데, 평가 기준 등을 딱 떨어지게 알 순 없는 측면이 있다"며 "최 부총리가 S&P 임원들과 만난 뒤에 등급이 올라갈지 내려갈지도 예상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편 최 부총리는 S&P와의 면담 전날인 16일에는 미국 경제전문매체인 CNBC 방송과 인터뷰한다. 이 자리에서 최 부총리는 최근 설파하고 있는 경기 개선론을 반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 부총리는 13일 확대간부회의에서 한국 경제와 관련,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을 중심으로 실물 경제지표가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다"며 "그럼에도 경기 회복이 미약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의 부진한 실적이 경제지표에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세종=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