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野 '총력' vs 與 '정쟁'…대치정국 더 꼬이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검찰 새로운 국정원 트위터 대선 개입 글 120여만개 발표
-민주, 특검 도입 요구 거리행진 들어가
-새누리, 野 특검 요구는 정쟁거리 만들기 고집


[아시아경제 전슬기 기자, 김인원 기자] 민주당이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수사를 위한 특검 도입을 요구하며 총력전에 들어갔다. 새누리당은 검찰의 수사가 엄정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오히려 감사원장 임명동의를 정쟁의 도구로 삼고 있다고 맞섰다.

민주당은 21일 오후 서울시청광장에서 김한길 대표와 전병헌 원내대표를 비롯한 소속 의원들 대부분이 참여한 가운데 국가기관 대선 개입 특검과 황교안 법무부 장관 해임을 촉구하는 규탄집회를 열고, 광화문광장까지 행진했다. 민주당은 국가정보원 직원들이 직간접적으로 게시한 것으로 추정되는 트위터 100만건 이상을 검찰이 추가로 확인한 것과 관련, 특검 수용과 황 장관 해임을 요구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긴급최고위원회의에서 "황 장관은 더 머뭇대지 말고 스스로 사퇴해야 한다"면서 "분명한 것은 국정원 등 국가기관의 조직적 불법선거 개입이 대대적으로 실행됐다는 사실로, 진실은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대통령이 당사자인 사건에 대해 공정 수사를 요구하는 게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만큼, 대선개입 의혹은 애당초 특검이 맡아야 할 전형적 사건이었다"며 "특검에 의한 진실규명이 해답"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군 사이버사령부의 선거개입 의혹과 관련해 "국무총리조차 대정부질문에서 수사가 왜 더딘지 답답하다고 말했다"며 "정작 의혹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지난 대선에서 사이버사령관을 지낸) 연제욱 청와대 국방비서관은 수사하지 않고 있는데, 국방부가 옥도경 사이버사령관을 희생양 삼아 수사를 마무리하려 한다는 의혹이 무성하다"고 비판했다.


전 원내대표는 "국정원의 선거개입 트위터 댓글이 110만건이 넘는다는 것은 충격적 경악적인 사태"라며 "지난 정권 청와대 지휘 여부도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를 다시 한 번 촉구한다"면서 "이번에도 거부한다면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정권의 결탁을 자인하는 꼴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민주당이 정보기관 흔들기에 몰두하고 있다고 맞서는 한편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의 사퇴를 조건으로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의 인준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민주당의 방침을 비난했다.


윤상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검찰수사가 엄정하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민주당의 특검 요구를 일축했다. 윤 원내수석부대표는 "민주당은 검찰 수사를 부정하고 특검을 주장한다"며 "민주당의 특검 요구는 당파적이고 근거가 없다. 엄정한 수사결과를 접하고도 계속 특검을 주장하는 것은 특별한 정쟁거리를 만들기 위한 고집"이라고 반박했다.


심재철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북한 김정은이 대남 공작부서에 박근혜정부 타격을 위한 선전전 확대를 직접 지시하고,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은 지하공작망에 유신회귀 반대 구호를 활용한 정권퇴진 투쟁을 강화하라는 지령을 하달했다"며 "북한은 국내정치에 개입하며 남남갈등을 확산하기 위해 혈안인데 야권은 국정원과 국군사이버사령부를 무력화하는 데 전력투구를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심 최고위원은 "야당은 모든 것을 대선불법개입이라는 색안경을 통해 바라보는 외눈박이 아닌가 싶다"면서 "소뿔을 고치려다 소를 죽이는 교각살우의 과오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국가기관 수장을 임명하는 인사문제까지 정쟁의 도구화를 하고 있다"면서 "야당의 임명동의안 처리 불가 방침은 부당한 정치 공세"라고 말했다. 최 원내대표는 "민주당의 당파적 이익을 위해 모든 국민이 희생하며 마냥 기다려줄 수는 없다"면서 "국민과 국익을 위해 감사원장 임명동의안의 조속한 처리에 민주당이 적극적으로 협조해줄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전슬기 기자 sgjun@asiae.co.kr
김인원 기자 holeino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