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콘텐츠 수출 2017년까지 100억달러로 두배 늘린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4초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정부가 콘텐츠산업 해외수출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오는 2017년까지 콘텐츠 수출 규모를 100억달러까지 늘리기 위해 지역별 맞춤형 마케팅, 해외진출 지원기반 구축 등의 10대 과제를 중점 추진키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12일 제137차 대외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콘텐츠 해외진출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48억 달러 수준인 콘텐츠 수출을 2017년까지 연 100억 달러 규모로 확대할 것을 목표로, 수출업계 애로 해소 및 현지 마케팅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강성주 미래부 융합정책관은 "지난해 콘텐츠 수출은 48억 달러 수준이나 세계 시장 점유율은 아직 2.8%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면서 "산업별로 보면 게임산업이 50.8%, 지역별로는 일본이 30.1%로 분야별·지역별 편중이 심하다"고 설명했다.


또 "국내 콘텐츠 기업 대다수가 여전히 영세한 수준이고 해외 진출도 초보단계인데다 불법복제로 늘어나는 수출이 수입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콘텐츠 강국이 되기 위해 저작권 보호와 현지 맞춤형 전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래부와 문체부는 ▲지역별 맞춤형 마케팅 활성화 ▲수출 콘텐츠 경쟁력 강화 ▲해외진출 지원 기반 구축 ▲호혜적 교류 협력 확대를 추진과제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남미·중동 등의 신흥시장 개척 및 아시아지역 교류·협력 확대를 위해 코트라(KOTRA) 등과 협력해 시장조사와 콘텐츠 홍보관 운영 등에 나선다. 아시아 지역 '한류 ' 확산을 위해 이시아·태평양 방송연맹(ABU) 등을 통한 아시아 문화·역사 소재 프로그램 공동제작을 추진한다. 또 미국·EU 등 선진 전략시장에서는 비즈니스 네트워크 및 협업을 강화하고, 현지투자 유치를 통한 한국 콘텐츠 지원 유도, 3D·CG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기업 수주 지원을 통해 진출 기반을 마련한다.


또 번역이나 스마트콘텐츠 변환 등 현지화 사업을 지원하고, 글로벌 유통업체와의 협력도 강화한다. 수출기업과 콘텐츠 기업 간 연계로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도록 돕는 한편 연관산업 분야에서의 협업과 융합상품 개발을 추진한다. 디지털 방송장비 및 플랫폼과 연계한 방송프로그램·채널·앱 등의 수출 기반도 다진다.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산업별 특성에 맞는 해외진출 전략을 수립하고, 장르별 특화 지원을 통한 국내콘텐츠 수준 제고 및 위상강화, 글로벌 스토리발굴·사업화도 계속 추진한다. 또 한국이 강점을 가진 UHDTV 서비스분야 표준안과 핵심 원천특허, 표준특허 등을 확보해 콘텐츠 가치를 높일 기술 개발도 병행한다.


해외 진출 업체들의 애로사항인 인력과 금융 등의 맞춤형 서비스도 이뤄진다. 문체부의 2200억원 규모 글로벌 펀드, 미래부의 1200억원 규모 디지털콘텐츠코리아 펀드, 수출영화에 대한 마케팅(P&A) 투자 전담 펀드 조성과 운영을 통해 글로벌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추진한다. 수출입은행은 한류콘텐츠에 대한 금융지원을 올해 1800억원 규모에서 2017년 2500억원 규모로 늘리며, 무역보험공사는 콘텐츠에 대한 수출신용보증을 2017년까지 7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해 차별화된 대책을 수립하는 한편 관계 부처·기관 간 해외진출협의회 구성·운영 등을 중점 추진한다. 수출관련 마케팅·법률·금융·인력·해외창업 등 종합지원을 위한 온·오프라인 창구 운영 등 해외진출 지원 원스톱서비스 체계도 구축된다.


양 부서는 "콘텐츠산업이 타 분야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통해 창조경제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 아래 이같은 방안을 공동으로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강 융합정책관은 "문화콘텐츠에 관한 일인 만큼 문체부의 역할이 중심이 되겠지만, 콘텐츠 범위가 매우 다양한 만큼 이통사 앱스토어를 통한 스마트콘텐츠 유통, UHD 등 콘텐츠 경쟁력강화를 위한 기술개발 등에서 미래부가 함께 할 일이 많다"고 언급했다.


황준석 문체부 문화산업정책과장은 "지금까지 콘텐츠 수출 규모를 보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연평균 16~20%씩 성장해 왔다"면서 "이 추세대로 간다면 100억달러 이상으로 늘어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신흥시장 같은 경우는 문체부의 힘만으로 어렵기에 범부처적 협력체계를 맺는 것이 필요하며, 부족한 인력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식 기자 gra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