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대통령 "민생이라면 여야 지도부와 만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9월 정기국회 개원이 일주일 앞두고 박근혜 대통령이 야당 대표와의 만남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냄에 따라 국회 정상화에 청신호가 켜졌다. 광장 정치에 나섰던 야당이 국회로 돌아올 명분을 만들어 줄 수도 있어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만나 정국 타개책을 내놓을 지 관심을 끈다.


여야는 팽팽한 기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새누리당은 26일 가능한 상임위원회 활동을 가동해 결산국회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장외투쟁중인 민주당을 압박하겠다는 복안이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법이 정한 결산완료시기와 산적한 민생현안때문에 책임있는 집권여당으로서 불가피하게 먼저 단독으로 결산심의를 요청했다"면서도 "민주당 참여하지 않으면 결산 심의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국회 일정에 따를 생각이 없다고 맞서고 있다. 민주당 박용진 원내대변인은 25일 브리핑을 통해 "야당과의 일정협의 없는 새누리당의 단독국회와 부실심사 협박은 국회를 파행시키려는 어설픈 전략에 불과하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지도부는 한때 국회 복귀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지만 "투쟁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는 의원들의 반발에 밀려났다. 이 때문에 민주당의 국회 복귀를 위해서는 박 대통령이 나서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돼 왔다.


박 대통령이 이날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민생회담과 관련해서는 언제든 여야 지도부와 만나 논의할 생각이 있다"며 "국민들이 간절하게 원하는 민생 안정을 위해 정부와 정치권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분위기는 반전됐다.


하지만 회담을 하게 되더라도 시기와 의제 등이 조율돼야 한다. '3ㆍ15 부정선거' 거론으로 청와대와 야당간의 갈등이 커짐에 따라 회담을 둘러싼 의견 조율이 차질을 빚은 상황이기 때문에 박 대통령과 김 대표간의 회담 의제를 두고 실무진간의 의견조율이 필요하다. 회담의 형식을 둘러싼 이견도 좁혀야 한다. 민주당은 양자회담을 주장하고 있고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자신을 포함한 3자회담을 제안했지만, 청와대는 새누리당과 민주당의 대표 및 원내대표가 함께 만나는 5자 회담을 제의했다.


박 대통령의 해외 순방 일정도 감안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다음달 4일부터 11일까지 러시아와 베트남을 순방한다. 회담 형식 및 내용 조율 등의 과정에 시간이 필요한 점을 감안하면 박 대통령의 귀국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9월 중순 추석 연휴 전후에 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크다. 회담을 하게 되더라도 청와대와 여야가 회담을 통해 정국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신경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