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미FTA 수혜품목 수출 15% 늘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한국과 미국간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관세혜택을 받은 품목의 대미 수출이 15%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표한 한미FTA 1주년 평가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3월 한미FTA 발효 후 관세가 인하된 FTA 수혜 품목의 대미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4.6% 늘었다. 같은 기간 관세가 아예 없거나 일정기간 관세인하가 유예된 품목의 경우 대미 수출은 2.9% 줄었다.

연구원은 미국 측 수입통계를 바탕으로 지난해 3월 FTA 발효 이후 10개월간 대미 수출성과를 수혜품목과 비(非)수혜품목으로 나눠 분석해 이 같이 발표했다. 연구원은 "FTA 수혜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을 큰 폭으로 늘려 대미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수출증가폭은 여타 국가에 비해 소폭 높은 수준이다. 일본의 경우 한국의 FTA 수혜품목에 대한 대미 수출은 같은 기간 13% 늘었다. 중국이 6.9%, 대만이 8.5% 정도 늘었으며 같은 품목에 대한 미국 전체의 수입량은 0.4% 줄었다.

주요 산업별로 보면 석유제품 가운데 FTA 수혜품목의 대미 수출이 32.8%, 석유화학 제품이 18.9%, 일반기계가 14.1% 증가하며 대미 수출을 견인했다. 이밖에 자동차 부품, 섬유ㆍ신발도 늘었다. 절대적인 수출규모는 작지만 에어백(419.1%), 서스펜션(407.6%), 휴대용 전등(4411.6%)과 같이 눈에 띄는 증가율을 보인 품목도 있었다.


한미FTA 발효 직전인 지난해 1분기만 해도 미국의 한국지역 투자는 전년에 비해 8% 줄었지만 발효 이후엔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4분기 미국의 한국 투자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70.5% 증가했다.


연구원은 "FTA네트워크 확대로 일본 등으로부터 투자가 늘어 한국의 외국인 투자유입은 162억6000만달러로 사상 최대수준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