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소리 없는 죽음'으로 불리는 치매 환자가 급증세다. 65세 이상 노인 589만 명 가운데 53만4000여 명이 치매환자다. 노인 11명 가운데 1명꼴이다. 2008년의 42만1000명에 비해 4년 사이 26.8%가 늘었다. 노인 인구가 17.4% 증가한 데 비하면 증가세가 심각하다. 앞으로는 더 문제다. 정부는 2025년에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
그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만만치 않다. 치매로 인한 연간 총 진료비는 2010년 8100억 원으로 뇌혈관질환 다음으로 많다. 1인당 진료비도 연간 310만원으로 5대 만성질환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국가 총 치매 비용은 10년마다 두 배씩 증가해 8조7000억 원(2010년)에서 2020년에는 18조9000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치매 노인 문제가 단순히 환자 개인과 가족의 고통을 넘어서 사회, 경제적으로도 큰 부담이 됐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치매의 예방, 발견, 치료 및 보호를 위한 기반 구축을 주요 골자로 한 노인 치매 관리 종합 대책을 내놓은 것은 당연하다. 치매는 이제 대표적인 노인 질환으로 국가적 질병이나 마찬가지다. 어느 가정에서나 피해가기 힘든 무거운 짐이 돼가고 있다. 치매의 짐을 가정에만 지우지 않고 국가가 관리 대책을 세워 나눠지는 건 바람직한 일이다.
검진 항목을 5개에서 19개로 세분화하는 등 진단율을 높이고 고혈압, 당뇨병 등 치매 발생 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것 등을 담은 정부의 정책 방향은 적절하다. 조기 발견과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선진국의 경우 첫 증상 후 병원을 찾는 기간이 평균 1.4년인 데 반해 우리는 2.7년이나 된다. 초기 단계부터 약물치료를 하면 5년 뒤 요양시설에 입소하는 비율이 55% 줄고 연간 5174억 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빠르게 진행되는 저출산, 고령화와 1인 가구의 증가 등으로 가정에서 치매 환자를 돌보는 건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 정부가 떠맡고 나설 수밖에 없다. 앞으로 치매 환자의 조기 발견을 위한 우선검진 대상을 75세에서 더 낮은 연령으로 확대하고 장기요양보험 혜택 기준도 지속적으로 완화할 필요가 있다. 나이 들면 찾아오는 '어쩔 수 없는 병'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고쳐 발병시 바로 치료를 받도록 독려하는 일도 중요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