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이킥3>, ‘하이킥 월드’에서 도착한 뒤늦은 편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하이킥3>, ‘하이킥 월드’에서 도착한 뒤늦은 편지
AD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75회 월-금 MBC 오후 7시 45분
<지붕 뚫고 하이킥>(이하 <지붕킥>)에서와 똑같이 중국집에서 자신을 도와주는 계상(윤계상)을 만난 세경(신세경)은 주어진 이틀이라는 시간 동안 자신의 삶을 복기했다. <지붕킥>을 성실히 지켜봐 온 사람들이라면 모두 기억할 만한 장면들로 자기 자신을 패러디 한 세경은, 그 유명한 “멈췄으면 좋겠어요”의 주어까지 멀미로 바꾸며 유쾌하게 과거를 뛰어넘었다. 무엇보다 멀리서 보내온 세경의 마지막 편지는 <지붕킥>의 결말이 상처로 남은 이들을 위해 뒤늦게 도착한 편지인 동시에, 열려 있는 또 다른 결말로 기억될 만 했다. 이 모든 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하이킥 월드’의 공통분모인 인물들 간의 관계와 직업으로 인한 것이다. <하이킥 : 짧은 다리의 역습>(이하 <하이킥3>)은 이 모든 점을 공유한 평행우주와 같은 ‘하이킥 월드’에서도 가장 천천히 변화하고 가장 보편적인 인물들이 존재하는 세계였기 때문에 그 모습 그대로 귀환한 세경을 이질감 없이 품어줄 수 있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하이킥3>가 전작을 넘어섰다는 의미는 아니다. 어쩌면 이러한 요소는 도리어 <하이킥3>가 시리즈 중 가장 가진 색이 옅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제의 에피소드는 현재의 이 작품이 세경에게 또 다른 결말, 그것도 따뜻하고 평화로운 결말을 선물할 만큼의 독립적인 이야기를 쌓아왔다는 증명이기도 했다. 계상은 충분히 갈 곳 없는 세경을 집으로 데려올 만한 인격의 사람이며, 차가운 지훈(최다니엘)과는 달리 기꺼이 따뜻한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 사람이다. 계상과 지훈이 같은 직업을 가졌음에도 다른 사람이듯, <하이킥3>는 전작들과는 다른 작품이다. 전작들에 비하면 느릴지 몰라도 자신의 박자에 맞춰 여기까지 온 <하이킥3>는 어색한 영어로 지원을 향한 자신의 감정을 말한 종석(이종석)처럼, 쌓아온 감정과 이야기들을 천천히 풀어내기 시작했다. 세경을 ‘진짜로’ 떠나보낸 이들은 이제 또 대한민국 서울 노량진에서 오늘을 살 것이다. 꿈같이 고마웠던 만남을 뒤로하고, 이제 그들의 이야기를 마저 지켜볼 차례다.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0 아시아 글. 윤이나(TV평론가)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