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포스코켐텍, ‘등방흑연소재’ 국내 생산···수입대체

日 토카이카와 합작···친환경 저 에너지 방식 생산
반도체, 태양전지 제조 장비 소재로 공급
탄소소재기업으로 글로벌 경쟁력 향상 기여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포스코 화학 부문 계열사인 포스코켐텍이 국내 최초로 제철 부산물인 콜타르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탄소소재인 등방흑연소재 제조 사업을 추진한다.

포스코켐텍은 21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일본 토카이카본사와 등방흑연블록 사업 합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지난해 5월 포스코켐텍과 토카이카가 체결한 ‘등방흑연소재 사업 진출을 위한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구체화한 것으로, 포스코켐텍은 토카이카의 최신 기술을 도입해 업계 최초로 친환경 저 에너지 방식을 적용해 등방흑연소재를 생산하게 된다.

포스코켐텍은 지난 4월 2차 전지 핵심 소재인 음극재 사업을 시작으로 전기로 등에서 사용되는 전극봉 생산 소재인 침상 코크스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이번 계약 체결로 등방흑연소재 사업에까지 진출해 글로벌 탄소소재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확고히 하게 됐다.


이번에 설립하는 합작사는 포스코켐텍과 토카이카 본사가 각각 60%, 40%의 지분을 갖게 되며 연산 4000t 규모의 생산공장을 오는 2014년 말 준공할 예정이다. 포스코켐텍은 원료를 공급하고 토카이카는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등방흑연소재는 제철 부산물인 콜타르를 가공해 만든 중간제품인 등방 코크스와 첨가제인 바인더 피치를 혼합해 고온의 열처리 공정을 거쳐 생산된다. 이 소재는 주로 반도체 및 태양전지와 발광다이오드(LED) 제조장비의 필수 소재로 사용되는 등 수요처가 다양해 성장성이 큰 시장으로 평가 받고 있다.


현재 국내 생산업체들은 등방흑연소재를 전량 수입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라 국내 생산이 본격화되면 수입대체 효과가 커 취약한 국내 소재사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격려사를 통해 “포스코켐텍은 지난 9월 침상코크스 사업에 이어 등방흑연사업에도 진출함으로써 글로벌 탄소소재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며 “향후 종합소재기업으로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채명석 기자 oricms@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채명석 기자 oricms@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