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올 서울 아파트 값 5% 상승

전세시장, 지속적인 강세..서울 8.30%↑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올해 서울 아파트 시장이 5.4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8%를 기록한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지난 4월부터 재건축 아파트 상승세에 영향받은 강남권 기존 아파트들의 집값이 오르는데 기인했다. 또 경기와 신도시도 아파트 값이 바닥을 쳤다는 분위기로 전반적인 매수세가 살아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후 6~9월 사이 집값이 큰 폭으로 뛰었다.

하지만 지난 9월과 10월 연이은 총부채상환비율(DTI)의 수도권, 제2금융권 확대 발표로 매수세가 급격히 줄어들어 최근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8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올해 아파트 시장은 서울 5.44%, 신도시 0.68%, 경기 0.30%, 인천 0.11%, 수도권 2.98%, 전국 2.48% 상승을 기록해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소폭 상승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경기회복조짐, 낮은 금리로 급등..하반기 DTI로 하락세

서울의 경우에는 올 초 초고층 재건축 허용, 제2롯데월드 허용 등 재건축 호재가 반영된 강남권 위주로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반면 마땅한 호재가 없는 신도시, 경기, 인천 등은 작년 9월부터 시작된 금융위기에 대한 여파가 1~3월까지 지속됐다.


하지만 상반기 서울과 수도권 집값이 매수세가 함께 살아나면서 상승세로 돌아섰고, 계속되는 저금리 기조와 경기회복 조짐으로 추가상승 기대감이 고조되며 집값 상승세는 6~9월 사이 급등했다.


이 같은 급등세에 부담을 느낀 정부는 지난 7월 7일 주택담보대출 인정비율(LTV)를 강화하는 대책을 내놓았지만 매수세를 가라앉히지 못했다. 대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7월과 8월 서울 매매변동률은 각각 0.88%, 1.08%을 기록했다.


이후 9월과 10월 정부의 연이은 DTI규제 강화 영향으로 9월까지 상승세를 지속하던 아파트 시장은 매수세가 급격히 위축되기 시작했다.


10월에는 서울 -0.06%, 신도시 -0.02%, 수도권 -0.02%, 11월에는 서울 -0.07%, 신도시 -0.04%, 경기 -0.06%, 인천-0.01%, 수도권 -0.06% 등을 기록하며 전반적인 하락세로 돌아섰다.


지방 아파트 시장은 평이한 수준의 매매상승률을 기록했다.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등이 각각 3.19%, 1.95% 올랐으나 미분양이 많은 대구광역시와 세종시 논란이 야기된 충청남도 등은 각각 -1.50%, -0.5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시장 초강세..전국 1위, 동탄신도시 39%↑


올해 전세시장은 지속적인 강세를 보였다. 지역적으로는 서울 8.30%, 신도시 3.78%, 경기 4.75%, 인천 1.43%, 수도권 6.14%, 전국 4.74% 올라 전반적인 하락세였던 작년과는 달리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서울은 지난 1월부터 현재까지 단 한차례의 하락도 기록하지 않았다. 그 중에서도 올해 전세가 상승의 진원지 역할을 한 송파구의 경우 28.49%가 올랐으며, 강동구 12.94%, 서초구 14.00%, 강남구 8.17% 등 강남권은 전세가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전국에서 전세가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동탄신도시로 39.03%나 올랐다. 이는 삼성전자 등 인근 직장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세물량이 부족해졌고, 입주 2년차 아파트들이 계약 갱신을 통해 전세가를 상향 조정했기 때문이다.


9호선 개통에 따른 최대 수혜지인 강서구는 12.82% 상승했으며 이는 서울에서 4번째로 높은 전세가 상승률이다. 보금자리주택이 공급됐던 하남시 역시 재계약 물량이 늘어나며 19.25% 상승했다.


지방에서는 부산광역시 3.46%, 광주광역시 4.14%, 대전광역시 5.59% 상승을 기록했고, 대구광역시는 매매가 하락세 영향으로 -1.13%를 나타냈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