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6단체·이재용·정의선 등
대통령실 12~13일 회동 추진
경제 중시·소통 등 긍정적 요소
전기요금 인상 등 대화가능성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주 경제 6단체장과 5대 그룹 총수와의 간담회를 추진하면서 새 정부 출범 후 재계와 나눌 첫 대화의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통령실은 간담회에서 산업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향후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방침이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앞두고 민간과의 조율을 통해 국내외 경제 메시지의 일관성을 확보하려는 목적도 깔려 있다.
10일 재계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이르면 오는 12일 또는 13일에 주요 그룹 총수, 경제단체장들과 회동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참석 대상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최태원 SK 회장 등이다.
특히 이번 간담회는 이 대통령 취임 후 열흘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이뤄지는 것으로, 정부가 경제를 국정의 출발점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재계는 해석하고 있다.

이번 회동은 형식적 인사 차원을 넘어 G7 정상회의에 앞서 글로벌 공급망, 반도체 경쟁, 통상 규제 등 핵심 현안에 대해 민간의 진단과 대응방안을 청취하려는 목적이 크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이 강화하고 있는 반도체·이차전지 공급망 규제, 디지털 무역 규범, 탄소국경조정제 등과 관련해 재계가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대응 방향을 놓고 밀도 있는 의견 교환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재계단체 한 관계자는 "여느 정권보다 재계와의 만남을 일찍 시작한 것"이라며 "경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의지의 표현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어떻게 저성장 기조를 벗어나고 새로운 성장을 이룰 것인지 등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라며 "기업에 부담으로 여겨지는 부분이나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지원이 필요한 첨단 산업 등에 대해서도 논의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도 "재계와의 소통 자체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대내외 불확실성과 경제가 상당히 좋지 않기 때문에 민간과 정부의 공조 체제가 중요한 상황"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G7을 앞두고 통상 이슈에 집중해 다루거나 국내외 경제 현안 점검을 폭넓게 다룰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지금 뜨는 뉴스
간담회에서는 이 밖에도 산업계가 우려하는 국내 정책 현안들도 함께 논의될 전망이다. 전기요금 인상, 재생에너지 의무화, 정년 연장, 주 4.5일제 도입, 상법 개정안, 노동조합법 개정안(노란봉투법) 등 기업들이 경영 리스크로 지목해온 사안들에 대해 재계가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있다. 경제단체들은 이에 대비해 간담회 의제 정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새 정부에 바란다' 형식의 공식 제안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지만, 한경협이 관련 내용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