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구소 주최 온라인 세미나
WSJ 주한미군 감축 보도
핵무장론 관련 "한국 주권 문제"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은 27일(현지시간) '주한미군 감축설'과 관련해 미 합참의장으로부터 아무것도 들은 게 없다고 밝혔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날 한미연구소(ICAS) 주최 온라인 세미나에서 "내가 쓴 모자(직함) 중 하나는 한국에 배치된 미국 선임 장교"라며 "미 합참의장은 나에게 (보도와 관련해) 전화도 안 했고, 아무 얘기도 한 바 없다"고 말했다.
앞서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2일 미 국방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국방부가 주한미군 약 4500명을 다른 지역으로 재배치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브런슨 사령관은 "WSJ 기사에도 합참의장의 말은 인용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주한미군도 WSJ 보도에 앞서 "미 국방부가 주한미군을 감축할 것이라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며 "미국은 대한민국 방어에 굳건히 헌신하고 있으며 새 정부와 우리의 철통같은 동맹을 유지 강화하는 방안을 협의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중국과 러시아의 군사적 확장을 억제하는 데 있어 주한미군의 전략적 중요성도 강조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미군 중 아시아 대륙에 배치된 부대는 (주한미군을 제외하고) 아무도 없다. 현재 베이징에서 직선거리로 400~600km에 미군은 우리 부대 외에는 아무도 없다"고 말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또 "우리가 전략적 유연성을 얘기할 때 힘을 통한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 다른 곳에 진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지역이 직면한 글로벌 도전은 엄청나다"면서도 "한반도에서 동해를 보면 러시아의 침범이 발생하고 있고, 서해에서는 중국이 북방한계선(NLL) 주변에서 침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북한의 핵 위협에 맞서 남한 자체 핵무장론에 대해선 "한국이 핵무기를 가질지 여부는 한국의 주권 문제"라며 "그 질문에 가장 적합한 사람은 대선에서 승리하는 사람이 될 것이며, 그 사람이 저보다 더 나은 답을 줄 것"이라고 했다.
지금 뜨는 뉴스
브런슨 사령관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러시아를 위해 쿠르스크 지역에 파병된 북한군에 대해선 "그들은 전략적 움직임(strategic movement)을 작전 기동(operational maneuver)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배웠고, 이는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