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SNS 등 '尹 흔적 지우기'
"서비스 점검 중…일시중단" 안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틀째를 맞아 대통령실 홈페이지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이 윤 전 대통령의 흔적 지우기에 나섰다.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5일 오전 운영이 중단됐다. 이날 오후 3시 현재 대통령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현재 대통령실 홈페이지 서비스 점검 중입니다. 점검 기간 동안 홈페이지 서비스가 일시중단됩니다'라는 안내문만 나온다. 이 홈페이지는 윤 전 대통령 소개 및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정과제','카드뉴스' 등 메뉴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그동안 윤 정부 정책을 알리는 창구 역할을 해왔다.
윤 전 대통령의 페이스북·인스타그램·X 등 SNS 계정의 안내문도 전날까지는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입니다'로 표기됐으나, 이날부터 '제20대 대통령 윤석열입니다'로 바뀌었다.
이에 앞서 전날 오전 11시22분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가 이뤄지자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 게양된 봉황기가 내려졌다. 대통령을 상징하는 봉황기를 내린 것은 현직 대통령 부재라는 의미다. 다만 대통령실은 탄핵 인용 이틀째까지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한 공식 입장은 내지 않고 있다. 4일 정진석 비서실장·성태윤 정책실장·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등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진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일괄 사의를 표했으나, 한 권한대행은 이를 모두 반려했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이틀째인 5일 한남동 관저에 머물며 퇴거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연합뉴스는 윤 전 대통령의 퇴거 시기는 일러야 내주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리할 것도 많고 준비할 것도 많은 것으로 안다"며 "적어도 이번 주말은 넘겨야 퇴거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7년 3월 10일 탄핵 인용 이후 이틀이 지난 3월 12일 일몰 후 청와대 관저를 떠나 삼성동 사저로 향했다.
지금 뜨는 뉴스
윤 전 대통령이 원래 거주하던 서초동 사저로 갈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경호처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이주할 장소가 결정되면 관련 법률과 규정 등에 따라 경호 활동을 시행할 것"이라면서도 "아직 퇴거 계획을 통보받은 바는 없다"고 말했다.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대통령이 재직 중 탄핵 결정을 받아 퇴임한 경우에도 전직 대통령에 대한 경호·경비는 유지된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