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 시장, 일자리정책 종합계획 발표
"2조1000억원 투입, 고용률 67.1%"
4대 전략·16개 과제, '일자리 도시' 창조
경직된 고용시장에 맞서 역대 최대 규모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부산시의 계획이 나왔다. 고용한파가 예고된 마당에 부산시의 과감한 정면승부가 성공을 거둘지 귀추가 주목된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시민행복 미래일자리 중심도시 도약을 위한 ‘2025년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을 수립했다고 1일 알렸다.
부산시는 올해 총 2조1000억원 예산을 투입해 19만2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15~64세 고용률 67.1% 달성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다.
시는 민선 8기 부산시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을 토대로 최근 고용시장 변화를 반영해 이번 계획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청년고용률(15~29세) 46.3%, 여성고용률(15~64세) 59.0%, 상용근로자수 94만명 등 세부 목표도 함께 제시했다.
올해는 고용시장의 어려움이 예상돼 일자리 창출 목표를 역대 최대 규모인 19만개 이상으로 잡아 지역 고용 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종합계획은 ‘시민행복 미래 일자리 중심도시 부산’이라는 비전으로 ▲지역 고용시장 활성화 ▲혁신성장 일자리 창출 ▲미래 일자리 기반 조성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 등 4대 전략과 16개 실천과제로 짜여있다.
‘지역 고용시장 활성화’를 위해 관광·전시 복합 산업(마이스) 등 지역 특화 일자리 창출을 강화하고 고용서비스 기능 고도화를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소한다.
중년층 정규직 일자리 창출을 위한 ‘4050 채용 촉진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최근 경기 부진으로 일자리 전환을 희망하는 소상공인을 위해 ‘폐업 소상공인 고용 전환 촉진 패키지사업’을 새로 시작한다.
‘혁신성장 일자리 창출’을 위해 디지털 혁신인재 양성과 디지털산업 기반 조성을 통한 지역경제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 또 반도체, 신소재, 미래차 등 미래첨단 산업을 육성하고 기계부품, 신발·섬유, 조선·기자재 등 주력산업 고도화에도 집중한다.
또 지역기업 혁신성장을 주도할 부산형 앵커기업을 선정해 지원하고 지역 중소기업 자금난 해소를 위해 지난해보다 315억원 늘어난 총 893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제공해 안정적인 성장을 돕기로 했다.
‘미래 일자리 기반 조성’을 위해 첨단업종을 중심으로 우수기업 투자유치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며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본격 가동해 지역기업과 대학의 혁신을 지원한다.
또 부산기술창업투자원을 중심으로 유망 창업기업을 육성해 선순환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금융 기회발전특구 조성, 한국산업은행 이전, 디지털금융산업 육성 등을 통해 금융 중심지로 도약하는 데 지속해서 힘쓸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 2033년까지 총 2조3000억원 규모의 ‘부산 산업전환 녹색펀드’를 새롭게 조성해 고부가가치 산업구조 전환을 주도할 계획이다.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통해 청년·여성·장노년·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지원한다. 청년 구직단계별 맞춤 지원사업인 ‘청년잡(JOB) 성장 프로젝트’를 확대해 청년 취업부터 직장 적응과 고용유지까지 일괄 지원하기로 했다.
청년의 근로의욕 고취를 위해 부산청년 일하는 기쁨카드와 기쁨두배통장도 확대 시행한다. 아울러 ‘우리동네 ESG센터’를 5곳에서 추가로 10곳으로 늘려 친환경 노인일자리를 계속해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번에 수립한 2025년 부산시 일자리정책 종합계획은 시 누리집 사전정보공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금 뜨는 뉴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계획을 중심으로 고용시장 활성화와 지역 주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며, “일자리 취약계층을 지원해 민생을 안정시키고 디지털·친환경 등 미래 일자리 창출에도 힘을 쏟아붓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