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청년 누구나 신청 가능
공연·전시 예매가능 포인트 지급
6월 말까지 최소 한번은 사용해야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함께 6일 오전 10시부터 '청년 문화예술패스' 발급을 공식 누리집을 통해 신청받는다고 5일 밝혔다.
청년 문화예술패스는 '인터파크'와 '예스24'에서 공연과 전시 예매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이다. 소득과 관계없이 올해 19세가 되는 국내 거주 2006년생(2006년 1월1일~2006년 12월31일 출생자) 대한민국 국민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전국 17개 시도별로 정해진 수에 따라 6일 오전 10시부터 선착순으로 발급한다. 지역별로 발급 상황에 따라 조기에 마감될 수 있다.
청년들은 발급받은 청년 문화예술패스 포인트를 연극, 뮤지컬, 클래식, 오페라, 발레, 무용, 국악, 음악 콘서트, 축제 등의 공연과 전시 예매에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발급 기간은 5월31일까지이며, 발급받은 포인트는 올해 12월31일까지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발급받은 후 6월 말까지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은 이용자의 포인트는 환수 조치된다. 즉 발급받은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포인트를 6월30일까지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을 경우, 7월1일부터는 사용할 수 없다. 문체부는 환수한 포인트는 2차 발급을 통해 더 많은 청년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립극단 등 11개 국립 예술단체와 공연시설들은 청년 문화예술패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관람권 할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할인 혜택이 적용되는 주요 공연을 살펴보면 ▲국립극단의 '만선(3월6~30일)', '그의 어머니(4월2~19일)'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베르디, 레퀴엠(3월9일)',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5번(6월13일)' ▲국립중앙극장의 '보허자: 허공을 걷는 자(3월13∼20일)', '정오의 음악회(3월20일)' ▲국립현대무용단의 '인잇: 보이지 않는 것(3월21~23일)' 등이다.
지역의 공연시설들도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대전예술의전당의 '아침을 여는 클래식(3월11일)' ▲경기아트센터의 '서가콘서트:데미안(3월15일)', '마스터즈 시리즈 II; 투쟁, 극복, 환희(4월19일)' ▲강원문화재단의 '강원의 사계 <봄> 양인모&조나단 웨어(3월19일)' ▲경기 광주시문화재단의 '제4회 연극페스티벌(3월28일∼4월19일)' ▲하남문화재단의 '대니 구: 프리마베라(Primavera, 3월29일)'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의 '콘서트오페라: 아모오페라(Amopera, 4월26∼27일)' 등이 있다.
참여 기관과 공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3월 중순 이후부터 공식 누리집과 인스타그램, 카카오톡채널 등 누리소통망(S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금 뜨는 뉴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올해도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통해 더 많은 청년들이 우리 문화예술 현장에 함께하기를 기대한다"며 "문체부는 앞으로도 청년들이 문화예술로 더욱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즐길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