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자 천국이라던 뉴질랜드
외자 유치 위해 비자 조건 완화
언어시험 폐지·투자 허용범위 확대
뉴질랜드가 외국 자본 유치로 경제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투자 이민용 '황금비자'의 조건을 완화한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에리카 스탠퍼드 뉴질랜드 이민부 장관은 전날 성명을 내고 투자이민 비자를 개편한다고 밝혔다.
스탠퍼드 장관은 "자본 이동성이 매우 높은 가운데 세상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이에 사람들은 안전하면서도 안정적인 국가에서 사업을 하고 싶어 한다"면서 "우리는 이제 투자자들이 뉴질랜드를 '목적지'로 선택할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투자이민 비자를 더 간단하고 유연하게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오는 4월 초부터 투자 이민용 언어 시험을 폐지하고 투자자의 의무 체류 기간 등 잠재적 장벽을 낮추기로 했다.
또 투자이민 비자를 '고위험 투자'와 '혼합 투자'의 2가지 범주로 개편하고 투자 허용 범위를 확대한다.
고위험 투자 비자는 3년간 사업이나 펀드에 최소 500만뉴질랜드달러(약 41억원)를 투자하고 뉴질랜드에서 21일만 체류하면 자격이 주어진다.
혼합 투자 비자는 5년간 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최소 1000만뉴질랜드달러(약 82억원)를 투자하고 105일간 머물러야 한다.
스탠퍼드 장관은 고위험 투자자 외의 투자자를 위해 선택 범위를 넓혔다면서 관련 업계와 협의 과정에서 이미 많은 지원자가 관심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급격한 경기 침체에 빠진 뉴질랜드 정부는 금리 인하 등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려고 했으나 외부 자본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뉴질랜드 정부는 고도로 숙련된 사람들이 영구적으로 이주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외국인 투자 규제를 재검토하는 동시에 외국인의 원격 근무를 돕는 규정을 완화해왔다.
지금 뜨는 뉴스
다만 블룸버그는 최근 호주, 스페인 등에서 투자이민 비자로 유입된 자금이 경제 생산성에 기여하지 못하고 부동산 등 단순 투자에 집중됐다면서 투자이민 비자가 폐지되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