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독서교실·청소년 작가교실 등 운영
전남도교육청은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내년부터 학교와 지역이 주도하는 ‘글로컬 독서인문교육’을 한층 강화한다고 19일 밝혔다.
김대중 독서교실과 청소년 작가교실, 권역별 학교도서관지원센터 운영 등은 학교·지역이 주도하는 ‘글로컬 독서인문교육’의 일환으로 주목 받고 있다. ‘김대중 독서교실’은 평화를 실천한 고 김대중 대통령의 정신을 잇는 독서인문교육 특화 교실이며, 독서와 토론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청소년 작가교실’은 공생의 가치를 이야기한 한강 작가의 시대정신과 지역 인문 특화를 연계한 독서와 글쓰기 수업이 이뤄진다.
도교육청은 전국 최초로 독서인문교육 전담팀을 신설해 ‘책으로 여는 아침’, ‘독서인문학교’, ‘나도 작가 프로젝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질문하며 답을 찾아가는 교육환경을 조성했다. 내년에는 학교와 지역이 주도하는 독서인문 프로그램을 강화해 전남의(義), 문학, 역사, 예술을 탐구하는 ‘전남독서인문학교’ 등을 지역 여건에 맞게 특화한 ‘지역독서인문교실’과 함께 운영할 방침이다,
또 도내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독서인문교육 프로그램 운영비를 지원해 학교가 자율적으로 선택해 특색있게 운영한다.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권역별 학교도서관지원센터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은 2025년 전남독서인문 교육 방향성을 공유하는 설명회를 도내 유·초·중·고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권역별로 실시했다.
박준 미래교육과장은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이 전남의 인문학적 역량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며 “학교와 지역이 자율권을 바탕으로 특색 있고 내실 있는 독서인문교육을 운영해 제2, 제3의 한강 작가를 길러내는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호남취재본부 이준경 기자 lejkg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