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타볼레오]비포장도로 거뜬…'오프로드 야생마' 거침없이 질주

시계아이콘02분 2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포드 브롱코 2.3 타보니
복고풍 감성+야외활동 실용성
안팎 숨겨진 이스터에그 재미↑

미국 자동차 제조사 포드(Ford)의 주력은 픽업트럭이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다. 야외활동에 적합한 차량을 내놓는 건 그만큼 많이 만들면서 내공을 쌓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포드가 주로 만드는 ‘바디온프레임(body-on-frame)’ 차량은 무겁고 승차감도 불리하지만 험로 주행에선 진가를 발휘한다. 오프로드 SUV를 지향하는 포드 브롱코(Bronco)를 찾는 수요가 꾸준한 배경이다.


브롱코는 1966년 처음 출시된 이후 1990년대 단종됐으나, 25년 만인 2020년에 부활했다. 국내 시장에는 2022년 도입됐고, 초기에는 2.7ℓ 모델만 판매되다가 2023년 9월부터 2.3ℓ 에코부스트(EcoBoost) 엔진을 탑재한 모델이 추가됐다. 이 엔진은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탄소 배출을 줄인 것이 특징이다.


[타볼레오]비포장도로 거뜬…'오프로드 야생마' 거침없이 질주 포드 브롱코. 포드코리아 제공
AD

브롱코는 초창기 모델의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과거 한 시대를 풍미했던 아이콘으로, 1세대 브롱코는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당시 브롱코의 성공에 자극받아 경쟁 업체들이 오프로드 SUV 모델을 잇따라 출시하기도 했다. 이번 6세대 브롱코는 복고풍 감성을 유지하면서도 야외활동에 적합한 실용성을 더해 새로운 매력을 발산한다.


외관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비율로 견고한 이미지를 강조하며 지상고를 높이고 전후면 돌출부를 짧게 처리해 오프로드 성능에 초점을 맞췄다. 둥근 헤드램프와 단순하면서도 강렬한 인상의 그릴에는 차명인 브롱코를 새겨 넣어 개성을 더했다. 이는 기존 모델에서 회사명(포드)을 새겼던 것과 차별화된다. 헤드램프와 테일램프는 LED로 구성되어 현대적인 세련미를 가미했다.


[타볼레오]비포장도로 거뜬…'오프로드 야생마' 거침없이 질주 포드 브롱코. 포드코리아 제공

브롱코에는 싱크4(SYNC 4)라는 자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탑재돼 있다. 이 시스템은 음성 인식 성능이 강화됐으며 무선 연결 기능으로 스마트폰을 쉽게 연동할 수 있다. 몇 번의 간단한 조작으로 스마트폰과의 연결이 완료될 정도로 사용 편의성이 뛰어나다. 속도계는 바늘 형태의 직관적인 그래픽으로 디자인됐고, 중앙에는 12인치 LCD 터치스크린이 자리 잡고 있어 메뉴 구성이 간단하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경사계 애니메이션에는 1세대 브롱코의 실루엣을 활용해 레트로 감성을 더했다. 사운드 시스템은 뱅앤올룹슨(Bang & Olufsen)을 적용해 고품질의 음향을 제공한다.


2.3 모델은 279마력의 출력과 토크 44㎏·m의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동급 4기통 가솔린 엔진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10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어 속도 변화와 엔진 회전수에 따른 응답성이 뛰어납니다. 차량은 후륜구동과 사륜구동을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주행 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


운전 보조 시스템은 코파일럿 360(Co-Pilot 360)으로 불리며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daptive Cruise Control), 차선 유지 시스템, 그리고 360도 카메라와 사각지대 정보 시스템이 포함돼 있다. 덕분에 큰 차체에도 불구하고 주변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오토 하이빔(Auto High Beam) 기능은 야간 주행 시 매우 유용하다.


[타볼레오]비포장도로 거뜬…'오프로드 야생마' 거침없이 질주 포드 브롱코 실내. 포드코리아 제공

브롱코는 오프로드 주행을 위한 다양한 기능도 갖추고 있다. 주행 환경에 맞춰 구동력을 조절하는 G.O.A.T(Goes Over Any Type of Terrain) 기능이 대표적이다. 이 기능은 1세대 브롱코의 수석 엔지니어였던 도널드 프레이가 브롱코에 붙인 별명에서 유래했다. 기본적인 노멀 모드 외에도 연료 효율을 강조한 에코 모드, 역동적인 주행을 위한 스포츠 모드 등 성향에 따라 고르면 된다. 미끄러운 길, 모래길, 진흙길, 비포장 도로 등 험난한 환경에서도 주행이 가능한 험로 전용 모드도 제공한다.


브롱코는 고성능 오프로드 안정성 서스펜션 시스템과 트레일 툴박스가 장착돼 오프로드 주행이 한층 안정적으로 가능하다. 트레일 턴 어시스트 기능도 다른 차에선 쉽게 보기 어려운 기능이다. 이는 경사가 급한 회전구간에서 선회 시 안쪽 뒷바퀴를 순간적으로 잠겨 회전반경을 최소화하는 걸 돕는다. 느린 속도로 내리막길을 갈 때는 트레일 원페달 드라이브 모드를 활용하면 된다. 저속 크롤링을 활성화시켜 브레이크 페달을 쓰지 않고도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다.


[타볼레오]비포장도로 거뜬…'오프로드 야생마' 거침없이 질주 포드 브롱코의 트렁크 프레임 안쪽 홈은 병따개로 쓸 수 있다. 포드코리아 제공
[타볼레오]비포장도로 거뜬…'오프로드 야생마' 거침없이 질주 트렁크 바닥 꼭짓점마다 있는 고리는 짐을 고정해준다. 포드 코리아 제공
[타볼레오]비포장도로 거뜬…'오프로드 야생마' 거침없이 질주 보닛 양쪽에는 장비 등을 묶어둘 수 있는 트레일 사이트가 있다. 포드코리아 제공

또 안쪽에서 레버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차량 천장과 문을 떼어낼 수 있다. 차고가 높은 편이지만, 사이드 스텝이 기본으로 달려 있어 타고 내리는 것도 어렵지 않다. 운전석과 조수석 각각 좌우로 그랩 핸들이 달려 있어 험로 주행 시 몸이 흔들리는 걸 막아준다. 테일게이트는 위쪽 유리창 부분은 위아래 방향으로, 아래 철제 부분은 옆으로 열리는 방식이다. 2열 좌석을 눕히면 뒤쪽 공간이 꽤 큰 편인데 트렁크 쪽과 좌석 간에는 다소 높이 차이가 있는 편이다.


AD

이스터 에그, 즉 차량 실내외 곳곳에 숨겨진 재미도 있다. 브롱코 초기 모델부터 활용한 야생마 엠블럼이 앞쪽 헤드램프와 바퀴 휠 가운데, 기어봉, 트렁크 조명에 작게 새겨져 있다. 조수석 차 문 위쪽에는 적힌 지역 좌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존슨밸리 지역의 브롱코 언덕을 뜻한다. 주유구에는 1세대 모델 출시 당시 세 가지 버전을 그려놨다. 이 밖에 야외 활동 시 활용 가능한 병따개, 짐 고정 고리, 타이 다운 장치도 차량 곳곳에 있다. 2.7ℓ 모델과 차량 크기는 같으며 연비는 ℓ당 8.4㎞(복합 기준), 가격은 7400만원이다.


[타볼레오]비포장도로 거뜬…'오프로드 야생마' 거침없이 질주 포드 브롱코 실내. 운전석과 조수석 양쪽에 손잡이가 있어 험로에서도 몸을 지지하는 데 요긴하다. 포드코리아 제공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6.2306:50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2006:40
    ④ 유니콘 '탑승자' 아닌 '동반자', 캡스톤파트너스
    ④ 유니콘 '탑승자' 아닌 '동반자', 캡스톤파트너스

    편집자주편집자주 = 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 25.06.1906:52
    ③미래에셋벤처, 新정부 AI정책 최대 수혜주로 부상
    ③미래에셋벤처, 新정부 AI정책 최대 수혜주로 부상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1806:50
    ②유니콘 성장 이끈 LB인베스트먼트…AI 집중 투자
    ②유니콘 성장 이끈 LB인베스트먼트…AI 집중 투자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1706:50
    BTS 데뷔 전 하이브에 40억 투자 '1080억' 회수한 SV인베…또 대박 날까①
    BTS 데뷔 전 하이브에 40억 투자 '1080억' 회수한 SV인베…또 대박 날까①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SV인베스트먼트를 시작

  • 25.06.2407:00
    전문가 한목소리 "인사청문제도 이제는 바꿔야"
    전문가 한목소리 "인사청문제도 이제는 바꿔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2307:00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 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 25.06.2007:00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1907:00
    野일 땐 '강화' 與일 땐 '침묵'…개선 없는 인사청문회
    野일 땐 '강화' 與일 땐 '침묵'…개선 없는 인사청문회

    인사청문회 무용론이 수년째 반복되고 있지만 국회 차원에서의 개선 논의는 미미하다. 인사청문회 제도가 운영된 지난 25년 동안 200건이 넘는 개정안이 발의됐으나 통과된 것은 단 8건에 불과하다. 야당일 때는 인사청문회 제도 강화를 외치다가도, 여당이 되면 소극적으로 변하는 한국 정치 지형 탓이다. 검증보다는 흠집 내기에 치중하는 인사청문회가 지속되는 이유다. 19일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00년 6월 인사청문회법이

  • 25.06.1907:00
    사전검증 철저한 美…한국은 '고무줄' 잣대
    사전검증 철저한 美…한국은 '고무줄' 잣대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2308:55
    이언주 "이대로 가면 산업공동화 위기, 빨리 산업 전환 해야"
    이언주 "이대로 가면 산업공동화 위기, 빨리 산업 전환 해야"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지난 19일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AK라디오'에 출연했다. 3선 의원으로 '경제통'인 이 의원은 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 의원은 "지금 한국 경제는 추락 직전 낭떠러지에 있는 것과 같다"고 진단하며 "주력 산업을 빠르게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함부로 증세해서는 안 된다"면서 "민생회복지원금을 빨리 집행해야 한다. 물가 상승을 걱정할 때가 아니다

  • 25.06.2208:00
    추가파병으로 러와 밀착하는 北…中 부담느끼는 이유
    추가파병으로 러와 밀착하는 北…中 부담느끼는 이유

    북한이 러시아에 6000명 규모의 공병 부대를 추가로 파견하기로 하면서 동북아 정세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다. 이미 1만4000여명의 전투 부대를 파병한 상황에서 추가 파병이 이뤄지면 총 2만명 이상의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병된다. 국제사회가 대북제재 위반이라며 목소리를 높이는 가운데, 중국도 상당히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에 파견되는 북한 공병 부대는 전투보다는 점령지 방어에 집중할

  • 25.06.2109:00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이 이란을 대상으로 한 군사작전에 '라이징 라이언(Rising Lion·일어서는 사자)'이라는 작전명을 붙이면서 그 배경과 의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작전명은 구약성경 민수기 23장 24절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구절은 "백성이 암사자 수사자 같이 일어나서 잡힌 것을 먹고 죽은 것의 피를 마시기 전에는 눕지 않을 것이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자는 고대부터 이스라엘 왕국의 상징이었으며, 이번 작전명

  • 25.06.1506:00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관계가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취임 초기 '브로맨스'로 불릴 정도로 가까웠던 두 사람은 극심한 갈등을 거쳐 최근 다시 화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들의 관계 변화는 단순한 개인적 불화를 넘어 미국 정치와 산업계 전반에 큰 파장을 미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관계는 2024년 대선 당시 절정에 달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을 전적으로 지원하며 선거 승리에

  • 25.06.1408:00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학교를 겨냥한 전방위적 압박에 나서면서 전 세계 유학생들 사이에 큰 혼란이 일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를 문제 삼고 있지만, 실제로는 하버드대의 진보적 성향과 반유대주의 시위에 대한 정치적 공세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몇 주간 세 차례에 걸쳐 하버드 대학교 유학생 등록을 막고 비자 발급을 취소하려 했지만, 매번 미국 연방법원의 제동에 부딪혔다. 하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