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한경협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 97.1
반도체 등 제조업 업황이 일부 회복됐지만 국내 기업들은 다음 달 경기가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한국경제인협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금융업 제외)을 조사한 결과 다음 달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가 97.1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BSI는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이 긍정적, 낮으면 부정적이라는 뜻이다. BSI 전망치는 2022년 4월 이후 29개월(2년5개월) 연속 100을 밑돌고 있다.
다음 달 제조업, 비제조업 전망치 모두 기준치보다 낮았다. 제조업 BSI는 94.8이었다. 반도체 호조로 지난달(88.5)보다 6.3포인트 올랐지만 내수 부진 우려가 이어지면서 기준치에는 못 미쳤다. 5개월 연속 100을 하회했다.
세부 업종별로 BSI가 엇갈렸다. 의약품(125.0), 전자 및 통신장비(116.7), 목재·가구 및 종이(111.1), 식음료 및 담배(105.6),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105.0), 석유정제 및 화학(103.3) 등 6개 업종은 호조 전망을 보였다. 비금속 소재 및 제품(64.7),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70.0), 금속 및 금속가공 제품(82.1), 자동차 및 기타운송장비(89.2)는 100보다 낮았다.
한경협은 "최근 반도체 수출 호황에 힘입어 전자 및 통신장비 중심으로 제조업 심리가 일부 개선됐다"면서도 "고금리 장기화 등에 따른 내수 위축 우려도 남아 있어 세부 업종별 BSI가 갈리는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비제조업 BSI는 99.5였다. 지난달 BSI가 105.5로 올 들어 처음으로 기준선 100을 넘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기준선을 밑돌았다.
비제조업 세부 업종 7개 중 휴가철 특수가 예상되는 여가·숙박 및 외식(135.7), 운수 및 창고(104.0)는 업황이 개선될 전망이다. 반면 소비 부진이 지속되는 도·소매(98.1), 수주 실적이 불안한 건설(95.3) 등 5개 업종은 기준선 100을 밑돌았다.
조사 부문별 BSI에서 수출 부문은 99.2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6월 전망치가 101.0까지 올랐다가 이번 달 전망치(98.1) 이후 두 달 연속 100을 밑돌았다. 수출뿐 아니라 고용(97.6), 채산성(96.3), 자금사정(94.7), 투자(91.5), 재고(107.2) 등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 전망이 나왔다. 두 달 연속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 전망이 나왔다. 재고는 100을 웃돌수록 부정적(재고 과잉)이라는 뜻이다.
한경협은 "특히 제조업 재고(112.0)가 2020년 7월(112.9) 이후 약 4년1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며 "하반기 미국과 중국의 성장 둔화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투자·생산 연쇄적 위축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 상당수가 여전히 고금리, 고환율로 인한 재무 부담과 실적 부진 압박을 겪는 상황"이라며 "기업 심리를 안정시키기 위해 법인 세제를 개선하고 노동조합법 개정 등 노사 갈등을 악화시킬 수 있는 입법을 지양해야 한다"고 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