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베이징=김혜원 특파원] 중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6.7%를 기록해 2년 연속 6%대 성장에 머물렀다.
중국 경제가 고도 성장기를 지나 새로운 안정을 뜻하는 '신창타이(新常態·뉴 노멀)' 시대로 전환을 꾀하는 가운데 올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등 대내외 변수 속에 중국의 성장률 추가 둔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20일(현지시간)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은 74조4100억위안으로 2015년에 비해 6.7%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경제 규모가 70조위안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성장률 6.7%'는 지난해 중국 정부가 제시한 목표치(6.5~7.0%)에는 부합한 수준이나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 발생 여파로 성장률이 급감한 1990년(3.8%) 이후 26년 만에 최저치다. 분기별로는 1~3분기 동일하게 6.7%를 기록한 데 이어 4분기에는 6.8%로 소폭 회복했다.
중국 정부는 대내외 여건을 감안해 올해 경제성장률 눈높이를 더 낮출 전망이다. 오는 3월 베이징에서 열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리커창(李克强) 국무원 총리는 업무 보고를 통해 '6.5% 내외'로 GDP 증가율 목표치를 하향 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인대에 앞서 지방정부는 잇따라 올해 경제 성장 전망치를 낮추고 있다. 23개 성(省)급 지방정부 중 18곳이 올해 GDP 목표치를 지난해보다 하향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 경제가 올해 6.5%, 내년 6.0%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위융딩(余永定) 중국 사회과학원 명예교수는 최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는 부동산시장의 성장 속도가 느려지면서 경제성장률도 떨어질 것"이라며 "GDP 증가율 6.0~6.5% 수준은 문제가 없으나 5% 미만으로 내려가면 경착륙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다. 중국은 경제 정책 운용의 방향을 제시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올해 공급 측면의 개혁을 심화하는 한편 부동산 거품 억제에 나설 뜻을 명확히 했다.
정부의 통계 조작 가능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는 더욱 커졌다. 지난해 분기별 GDP 증가율이 3개 분기 연속 6.7%로 동일했던 것을 두고 서방 학계에서는 "중국처럼 경제 규모가 큰 나라에서는 이례적인 일"이라며 의혹을 제기했다. 중국이 1992년 분기별 성장률을 처음 공개한 이래 한 해에 3개 분기 연속 똑같은 수치가 나온 것은 처음이다.
베이징 김혜원 특파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