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희준의 육도삼략]남중국해에 052D 이지스함 추가 배치한 중국의 속셈

시계아이콘03분 2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대공·대함·대잠전 능력....남중국해 영유권 강화 노림수

네덜란드 헤이그 상설중재판소(PCA)가 12일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을 인정하지 않는 판결을 내린 지 불과 몇 시간 후 중국은 최신 함정 취역사실을 발표했다. 주인공은 중국판 이지스함으로 통하는 쿤밍급 052D형 4번함 인촨함이었다. 인촨함은 중국 인민해방군 남해함대에 배치됐다. 이로써 남해함대에 배치된 중국의 이지스함은 모두 4척으로 늘어났다. 인촨함은 대함전, 대공전, 대잠수함전, 육상공격 등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함정으로 중국의 다른 함정에 강력한 대공방어망을 제공하는 중국의 대미 전략인 반접근지역거부(A2AD) 전략의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곧 중국이 인촨함을 취역시킨 것은 중국이 남중국해 영유권을 결코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도를 내보인 것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전쟁이 아니고서는 중국이 남중국해 영유권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미국 간 군사력 대치 수위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조차 나오고 있다.


[박희준의 육도삼략]남중국해에 052D 이지스함 추가 배치한 중국의 속셈 12일 취역한 중국판 이지스함 052D형 인촨함
AD


◆052D형 4번함 인촨함 배치로 전력 강화된 中 남해함대=차이나 밀리터리 온라인, 인민일보 온라인판 등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12일 남해함대 본부가 있는 하이난다오(海南島) 산야(三亞) 해군항에서 최신 유도미사일 구축함 인촨함 취역식을 가졌다. 취역식은 PCA가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을 부정한 지 불과 몇 시간 후에 이뤄졌지만 함선번호가 칠해진 인촨함이 군항에 정박해 있는 사진이 다수 인터넷에 나돈 만큼 취역은 시간문제였다는 게 중론이다.


인촨함은 중국판 이지스함인 052D형 쿤밍급 4번함으로 함선번호는 175번이다. 쿤밍급 구축함은 루양3급으로도 알려져 있다. 중국 해군의 차세대 핵심 전력으로 꼽히는 052D형 구축함은 항공모함 랴오닝(遼寧)함과 상륙함 쿤룬산(昆崙山)함에 이어 중국군 최대 전함이다.

052D형 구축함 1번함 쿤밍함은 0214년 3월, 2번함 창사함은 같은 해 8월, 3번함 허페이함은 지난해 12월에 각각 취역해 모두 남해함대에 배치됐다. 이로써 남해함대에 배치된 052D형은 모두 네척으로 늘어났다. 남해 함대에는 이보다는 작고 성능이 떨어지지만 역시 이지스함에 준하는 성능을 가진 052C 형(루양2급) 함정도 두 척 배치돼 있다. 함선번호 170 란저우 함과 171 하이커우 함이 그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남해함대에는 총 6척의 이지스함이 배치된 것으로 현재 일본 해상자위대의 이지스함과 숫자가 같다. 한국의 이지스함은 세종대왕급 세 척 뿐이다.


그 만큼 중국 남해 함대의 해상전력이 막강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해함대는 공격핵잠수함 2척, 탄도미사일 핵잠수함 4척, 재래식 디젤잠수함 16척, 구축함9척, 프리기트함 20척, 상륙함 25척, 미사일 고속정 38척, 코르벳함 8척 등 막강한 전력을 갖추고 있었는데 최근 배수량 1300t급의 신형 경량 미사일 호위함 취징(曲靖)함이 추가 배치했다.


[박희준의 육도삼략]남중국해에 052D 이지스함 추가 배치한 중국의 속셈 052D형 구축함 1번함 쿤밍함



중국은 남중국해 환초, 인공섬 등 수면 위 통제권뿐 아니라 해저 통제권도 확보한다는 목표에 따라 이 해역 주변의 잠수함 전력도 대폭 강화하고 있다. 지난 2014년부터 산야 잠수함 기지에 094형 진(晉)급 탄도미사일 발사 핵잠수함(SSBN)을 배치한 것으로 미 국방부는 밝혔다. 이 잠수함 탑재 미사일 사거리는 7400㎞로 캘리포니아 등 웬만한 미 서해안 지역이 타격권 내에 넣는다. 이 잠수함은 메가톤급 다탄두로 된 '쥐랑-2'(巨浪, JL-2) 탄도미사일 12발을 탑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스텔스전투기까지 잡는다는 052D형= 저우쉬밍(周煦明) 부사령원(부사령관) 이 참석한 가운데 취역한 인촨함은 중국의 최신 유도미사일 구축함이다. 중국의 군사전문가 차오웨이둥(曹衛東)은 중국 중앙TV에 인촨함의 배수량과 유도탄성능이 미국 알리버크급 이지스함에 뒤진다고 평가했지만 다른 전문가들은 알리버크급 이지스함은 물론, 한국의 세종대왕급, 일본의 아타고급보다 성능이 나을 것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美해군정보국(ONI)도 "052D형은 첨단 대공 및 장거리 타격능력을 갖춘 유연한 전력을 향한 중국군의 추세를 구현한다"면서 "B형과 C형을 포함해 052 형은 전체가 여러 가지 면에서 현대적이며 서방의 최신 함정에 필적할 만하다"고 평가한 적이 있다.


이 같은 평가는 나름 근거가 있다. 인촨함은 일단 크다. 길이 156m, 너비 18m, 흘수 6.5m에 만재배수량 7500t으로 알려져 있다. 속도는 30노트 l상이다. 큰 덩치 덕분에 대함·대공·대잠수함 미사일을 수납하는 수직발사대가 64셀 탑재돼 있다. 함정 선수에 32셀, 선미에 32셀이 각각 배치돼 있다. 수직발사대는 052C의 원통형 수직발사대와 달리 4각형으로 장족의 발전을 한 것이다. 미국의 Mk 41 발사대를 꼭 닮았다. 1셀에는 최대 4발의 미사일이 수납되는 만큼 이론상 256발의 미사일이 한 척의 함정에 탑재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탑재되는 미사일은 임무에 따라 다를 것으로 보인다. 함대공 미사일, 함대함 순항미사일, 함대지 순항미사일 등이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대공 미사일만 적재한다면 지역방어를 하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박희준의 육도삼략]남중국해에 052D 이지스함 추가 배치한 중국의 속셈 052C형 함정에서 발사되고 있는 HHQ-9 함대공 미사일



대공미사일로 육상 지대공 미사일 HQ를 함정용으로 개조한 HHQ가 있다. 052C에 탑재된 HHQ-9A보다 사거리가 늘어난 개량형(HHQ-9B)이라는 게 ONI 평가다. 052C형에 탑재된 미사일의 경우 사거리가 55해리(약 102㎞)지만 052D형에 탑재된 것은 80해리, 약 148㎞다. 250㎞라는 설도 있다. 148㎞라고 하더라도 지름 300㎞ 안의 하늘을 충분히 방어할 수 있다.


단거리 대공 미사일 HHQ-10은 사거리 9㎞ 이내를 방어한다. 미국의 램 미사일을 본 떠 만든 것으로 1기(24발)가 탑재돼 있다. 중거리 대공 미사일 DK-10은 30~50㎞ 구역을 방어한다.


[박희준의 육도삼략]남중국해에 052D 이지스함 추가 배치한 중국의 속셈 052D형 구축함이 수직발사대의 덮개를 전부 열어젖힌 모습



원거리 펀치력을 가진 대함 미사일도 있다. 대함 순항미사일 YJ-18이다. 수직발사대에서 발사되는 만큼 함정의 항해 방향과 상관없이 날아가 적 함정을 공격할 수 있다. 이 미사일은 사거리가 220~540㎞로 길다. 이거리 안의 적 함정은 언제든지 제물이 될 수 있다. 미해군의 대함미사일인 하푼의 사거리 120~250㎞와는 비교 자체가 안 된다.게다가 순항속도는 하푼과 비슷한 마하 0.8이지만 표적 가까이에 가서는 마하 2.5~3으로 급가속하는 만큼 적 함정이 요격하기란 대단히 어렵다. 탄두 무게는 140~300kg 정도지만 초음속에 따른 운동에너지만으로도 적 함정에 엄청난 타격을 가할 수 있다 중국판 GPS 인 베이더우 위성항법시스템이 내장됐다는 주장도 있다.


이밖에 대잠미사일, 육상공격순항미사일(LACM), 근접방어무기(CIWS), 구경 130mm 함포 1문을 갖추고 있다. 이 함포는 분당 최대 40발을 29.5km까지 날릴 수 있다.


헬기도 1기 탑재한다,


052D형 구축함의 이 같은 강력한 방어 공격능력은 미해군 이지스함보다 훨씬 우수하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 346형 ‘드래곤 아이’ 능동전자주사위상배열(AESA) 레이더 덕분임은 물론이다. 일각에서는 518형 L밴드 레이더가 스텔스 전투기, 특히 미군이 배치를 앞두고 있는 F-35 합동공격기를 350km 거리에서 추적, 탐지해 함대공 미사일 발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서방 전문가들은 반신반의한다. 물론 이는 논란이 많은 주장이긴 하지만 ‘그럴 수도 있다’는 게 중요하다.


외형상 이처럼 강력한 방공망의 출현으로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미국의 군사대치는 더욱 더 팽팽해질 게 분명하다. 중국은 남중국해 파라셀 군도(중국명 시사군도·베트남명 호앙사 군도)에 있는 우디 섬(중국명 융싱다오)에 HQ-9 지대공 미사일 포대와 최신예 전투기 J-11 전투기 16대를 배치해 미국 거부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J-11은 중국형 F-15 전투기로 최고 속도가 마하 2.35로, PL-12/SD-10 공대공미사일, 범용폭탄 등을 탑재하는 최첨단 전투기다. 중국의 남중국해 군사화에 대응해 미국은 해군 함정의 남중국해 순찰을 강화하고 있고 각종 항공기 90대를 탑재하는 항공모함 2척을 이 해역에 배치해 군사적 긴장감은 파도만큼이나 높아지고 있는 형국이다.




박희준 편집위원 jacklon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4.0207:30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았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풍력

  • 25.04.0207:30
    (하)대만전력공사
    (하)대만전력공사 "해상풍력은 하늘이 준 기회"

    "대만 중앙 산맥과 중국 본토 사이에 있는 대만해협은 지리적으로 바람이 강한 지역입니다. 하늘이 준 기회를 버릴 수는 없죠." 지난달 20일 대만 타이베이 대만전력공사에서 만난 차이즈멍 부사장은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해상풍력의 강점을 이렇게 설명했다. 중앙산맥은 대만섬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산맥으로, 대만산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만에서 해상풍력 사업은 주로 서해안 지역에 이루어지고 있는데 중앙산맥

  • 25.04.0207:30
    (하)오스테드
    (하)오스테드 "韓 기업과 글로벌 해상풍력 협력하고파"

    "오스테드는 전 세계 해상 풍력 프로젝트에서 한국 기업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페어 마이너 크리스텐센 오스테드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지난달 21일 대만 타이베이 신이구에 있는 오스테드 아태지역 본부에서 기자와 만나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덴마크 국영 기업인 오스테드와 대만 해상풍력과의 인연은 깊고도 넓다. 오스테드는 대만 최초의 해상풍력단지인 포모사1 개발에 참여한 데 이어 2024년에는

  • 25.04.0107:30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전력부족사태 온다"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아 있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 25.04.0107:30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핵융합·SMR 관심있게 보고 있다"

    "대만도 핵 관련 기술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습니다. 안전성이 확보되고 핵폐기물 이슈가 해결된다면 ‘새로운 핵기술’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우즈웨이 대만 경제부 능원서(能源署·에너지청) 부서장은 지난달 21일 타이베이 경제부 회의실에서 진행된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정부는 탈원전 이후에도 새로운 원자력 기술 발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만은 5월17일 현재 가동 중인

  • 25.04.0108:35
    ⑥권용진 교수
    ⑥권용진 교수 "직업윤리 바로 세워야"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4
    ⑤김누리 교수
    ⑤김누리 교수 "공적 책임의식 회복 시급"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3
    ④
    ④"보상심리 있지만 의료계-환자 상생하자는 것"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2
    ③서열·통제·복종 문화 속 집단사고
    ③서열·통제·복종 문화 속 집단사고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1
    ②'의대 블랙홀' 속 더 공고해진 특권의식
    ②'의대 블랙홀' 속 더 공고해진 특권의식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4.0207:30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았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풍력

  • 25.04.0207:30
    (하)대만전력공사
    (하)대만전력공사 "해상풍력은 하늘이 준 기회"

    "대만 중앙 산맥과 중국 본토 사이에 있는 대만해협은 지리적으로 바람이 강한 지역입니다. 하늘이 준 기회를 버릴 수는 없죠." 지난달 20일 대만 타이베이 대만전력공사에서 만난 차이즈멍 부사장은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해상풍력의 강점을 이렇게 설명했다. 중앙산맥은 대만섬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산맥으로, 대만산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만에서 해상풍력 사업은 주로 서해안 지역에 이루어지고 있는데 중앙산맥

  • 25.04.0207:30
    (하)오스테드
    (하)오스테드 "韓 기업과 글로벌 해상풍력 협력하고파"

    "오스테드는 전 세계 해상 풍력 프로젝트에서 한국 기업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페어 마이너 크리스텐센 오스테드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지난달 21일 대만 타이베이 신이구에 있는 오스테드 아태지역 본부에서 기자와 만나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덴마크 국영 기업인 오스테드와 대만 해상풍력과의 인연은 깊고도 넓다. 오스테드는 대만 최초의 해상풍력단지인 포모사1 개발에 참여한 데 이어 2024년에는

  • 25.04.0107:30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전력부족사태 온다"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아 있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 25.04.0107:30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핵융합·SMR 관심있게 보고 있다"

    "대만도 핵 관련 기술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습니다. 안전성이 확보되고 핵폐기물 이슈가 해결된다면 ‘새로운 핵기술’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우즈웨이 대만 경제부 능원서(能源署·에너지청) 부서장은 지난달 21일 타이베이 경제부 회의실에서 진행된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정부는 탈원전 이후에도 새로운 원자력 기술 발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만은 5월17일 현재 가동 중인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