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프라임사업 1차 컷오프 통과했지만"…대학들 냉가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일부 학과·단과대 통폐합 졸속 강행
교수·학생 반대 거세 후유증 우려
탈락땐 비용 등 자체해결 부담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이달 말 '프라임사업(PRIME·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최종 선정을 앞두고 1차 컷오프를 통과한 대학들이 막판 승부수 띄우기에 한창이다.

하지만 오는 22일까지 진행되는 대면평가 대상으로 통보를 받은 약 57개 대학 가운데는 학교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교수 및 학생들과 극심한 마찰을 빚고 있는 곳이 다수 포함돼 있어 선정 결과와 선정 이후 상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프라임사업은 산업 수요에 맞는 인재 배출을 위해 각 대학이 기존의 인문·사회·예체능 계열의 정원을 줄이고 이공계 정원을 늘리는 쪽으로 구조조정을 유도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연간 2000억원의 예산을 각 대학에 집중 지원한다.

최종 사업자로 선정되는 대학은 한해 50억~300억원씩 3년간 지원을 받게 된다. 단일 사업으로는 지원 규모가 가장 커 대학가에선 '단군 이래 최대', '선정만 되면 로또'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는다.


최근 등록금 동결 등으로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부분의 대학들이 프라임사업을 유치하기 위해 무리한 학과 구조조정을 추진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각 대학들의 구조조정이 졸속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기존 학과나 단과대를 통폐합하는 과정에서 소속 학생 및 교수들과 충분한 합의를 이루지 못해 진통을 겪는 대학이 속출했다.


일부 대학은 이 과정에서 학장들이 단체로 사퇴하는 등 극심한 갈등을 겪었고, 서울대를 비롯한 유명 대학들 중에는 아예 프라임사업 신청을 포기한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학과 정원을 조정하고 구조조정을 단행한 대학들은 앞으로 바뀐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비용과 인력이 필요하다. 프라임사업에 선정돼 재정 지원을 받으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하고 탈락할 경우 대학으로서는 자체적으로 이 비용을 감당해야 하는 처지다.


교육부는 프라임사업의 취지 자체가 대학의 체질을 바꾸고 동시에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하자는 것인 만큼 이같은 학교 구조조정이 대학의 미래 경쟁력 확보에도 나쁠 게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학생과 교수들은 이미 드러난 것보다 더 큰 '후폭풍'을 우려해야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서울의 한 사립대학 관계자는 "현재 서류심사를 통과한 대학들 가운데는 학생과 교수들의 심각한 반발을 겪고 있는 곳들이 한둘이 아니고, 이 때문에 최종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렵다"며 "프라임사업에 선정되든 선정되지 못하든 대학 구성원간의 불신과 이로 인한 학사 차질 등 후유증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