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일자리해법 누가 맞나?…남경필 "2천억 투입" vs 이재명 "역량지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일자리해법 누가 맞나?…남경필 "2천억 투입" vs 이재명 "역량지원" 남경필 경기지사가 지난 8월 열린 '도지사 주재 일자리창출 전략회의'에서 중장년 일자리 대책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AD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내년 일자리 창출에 2000억원을 쏟아붓는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정부가 수조원을 들여도 해결하지 못하는 일자리 문제를 2000억원을 투입해 해결하겠다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기도는 15일 수원 영통 광교테크노밸리 내 차세대융합기술원에서 2016년 일자리 창출정책 선정을 위한 '넥스트 경기 일자리 창출 대 토론회'를 가졌다. 이날 대토론회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도민의 아이디어를 정책화 하고, 일자리에 집중 투자하기 위해 마련됐다.


도는 이날 대토론회를 위해 이달 5일까지 도민, 도의원,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모했다.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분야 155건 ▲청년취업 지원분야 61건 ▲중소기업ㆍ소상공인 지원 47건 ▲문화관광분야 48건 ▲창업지원ㆍ사회적 경제분야 45건 ▲SOC(사회간접자본) 등 기타 44건 등 총 400건의 아이디어가 모였다.

이날 대토론회에서는 제안받은 400건 중 서류심사와 전문가 예비심사를 거쳐 선정된 70건을 대상으로 본심사가 진행됐다. 이를 통해 최종 30여건의 제안 정책이 추려졌다. 이들 30여개 사업은 내년 일자리 창출 정책으로 공식 채택돼 2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1개 정책 당 66억원 가량의 예산이 지원되는 셈이다.


앞서 남경필 지사는 지난 9월22일 착한알바 캠페인 선포식에서 "내년 일자리 만들기에 2000억원을 투입하겠다"며 "명확하게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공직자, 도의원, 도민들의 아이디어를 모을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해 달라"고 주문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정부도 못하는 일자리 문제를 지자체 차원에서 해결하겠다는 것은 다소 무리라는 시각도 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지난 1일 기자회견에서 "지금 누가 뭐라 해도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라며 "그러나 지자체가 일자리 자체를 만들어 내는 것은 많은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일자리 창출은 내수중심의 중소기업 지원 등 중앙정부의 산업고용정책 몫이 크다"며 "중앙 정부조차 막대한 투자를 했지만 지금까지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일자리 문제를 지자체가 예산을 투입해 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이 시장은 나아가 "지방자치단체가 할 수 있는 일은 청년세대가 일자리에 맞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측면에서 지원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