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남경필 "빅데이터 개인정보노출 관리 거버넌스 만들자"


[아시아경제(성남)=이영규 기자] 남경필 경기지사가 빅데이터 활용에 따른 개인정보 노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국제적 거버넌스 기구 창설을 제안했다.


남 지사는 13일 경기도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15 빅포럼(B.I.G.Forum)에서 '빅브라더의 공포를 없애자'(NO more fear of Big brother)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빅데이터를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우려와 공포를 없애야 한다. 원자력을 IAEA(국제원자력기구)를 통해 관리하듯 빅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남 지사는 이어 "구글이나 아마존, 페이스북과 같은 오픈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우리에게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우리 삶에 많은 변화를 불어 일으켰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데이터를 독점하고 마음대로 사용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면서 "데이터를 보유한 기업이나 정부권력자들이 부당한 목적에 빅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도록 세계가 공감하는 거버넌스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남 지사는 이날 빅데이터와 관련된 경기도의 구체적 계획도 밝혔다.

남 지사는 "경기도가 갖고 있는 1008종의 공공데이터와 민간의 빅데이터를 단계적으로 무료로 제공하겠다. 이를 위해 국내 거대통신사인 KT로부터 통신데이터를, 국내 최대 신용카드사인 신한카드로부터 신용거래 데이터를 제공받기로 합의했다"며 "경기도가 무료로 제공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누구나 창의적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빅데이터 오픈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남 지사는 도가 보유한 공공데이터와 통신정보, 신용거래정보 등 민간의 빅데이터를 현재의 법 제도 규정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을 만들어 내년 2월부터 서비스하겠다고 밝혔다. 플랫폼은 개방하지만 데이터는 독점하고 있는 구글과 달리 경기도는 플랫폼과 데이터 모두를 개방하는 오픈 플랫폼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남 지사는 오픈 플랫폼과 함께 빅데이터 실험을 위한 랩(Lab) 신설 방안도 밝혔다.


그는 "아직까지 개인정보보호법 등의 규제로 데이터 활용이 많은 한계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며 "개인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직접 사용해 어디까지 활용 가능한지, 활용에 있어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실험할 수 있는 빅데이터 랩이 필요하다. 판교에서 빅데이터 실험을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2015 빅포럼은 빅데이터의 현재와 미래 등을 한 번에 조망할 수 있는 국제포럼으로 ▲세계 3대 경영전략 애널리스트로 꼽히는 토마스 데이븐포트 ▲필립 유 일리노이 대학교수 ▲로스 영 구글 디렉터 등 세계적 빅데이터 관련 석학과 기업인이 참가한 가운데 13일 개회식을 시작으로 오는 15일까지 열린다.


이번 포럼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참가비는 무료다. 일반인을 위한 부대행사로는 사주상담, 한의학체질 감별 및 건강상담, MBTI 성격진단 등이 준비돼 있다. 빅데이터 관련기업 채용설명회도 개최된다. 빅데이터 관련 최고의 강사로 꼽히는 송길영 다음소프트 부사장 등 빅데이터 분야 인기강사 3명이 '빅데이터, 사람의 마음을 읽다'를 주제로 빅데이터에 대해 자세히 안내하는 시간도 마련된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