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여의도 '비밀' 지하벙커, 40여년 만에 시민 개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VIP 이용시설 추정…내년 10월께 전면 개방 추진

여의도 '비밀' 지하벙커, 40여년 만에 시민 개방 ▲여의도 비밀 지하벙커 내부(사진=서울시)
AD


[아시아경제 유제훈, 원다라 기자] 1970년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서울 여의도 소재 비밀 지하벙커가 오는 10일 시민에 개방된다.

벙커는 여의도 버스환승센터와 서울국제금융센터 빌딩 사이(옛 중소기업전시장 앞 도로) 지하 7~8m 지점에 위치해 있다. 넓이는 약 793㎡(240평) 규모. 지난 2005년 여의도 버스환승센터 건립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됐으나 조성주체나 목적, 시점 등에 관한 기록은 아직껏 발견된 바 없었다.


서울시는 이에 보유 중인 과거 항공사진들을 분석했다. 그 결과 1977년 11월 항공사진에서 벙커 출입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1976년 11월 이전의 항공사진에서는 별다른 흔적이 없었다는 점을 미루어볼 때, 1977년을 전후한 시기에 벙커가 건설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판독 결과 벙커가 자리한 곳은 1977년 10월1일 국군의 날 사열식 때 단상이 있던 자리였다. 이는 여의도 지하벙커가 사열식 당시 대통령을 경호하기 위해 지어진 비밀시설일 가능성을 추측케 한다.


당시 군부대 관련 정보에 밝은 한 인사는 "당시 5ㆍ16 광장(현 여의도광장)에서는 4년에 한 번씩 국군의 날 행사를 열었는데, 북한의 도발이나 폭격을 우려해 극비로 밤마다 지하벙커를 만들었다"고 회고했다. 그런 곡절 끝에 만들어진 벙커는 이후 관련자들이 자리를 떠나면서 잊혀졌던 것으로 보인다.


벙커는 가파른 계단을 타고 내려가면 좌ㆍ우 2개 방(房)이 펼쳐지는 구조다. 왼편은 66㎡ 규모의 작은방이다. 화장실, 소파, 샤워장이 갖춰져 있다. 벙커를 찾은 VIP(대통령)가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5년 발견될 당시 소파와 열쇠박스가 복원ㆍ전시돼 있다.


오른편에는 경호원 등 수행인력들이 머물렀을 것으로 보이는 큰 방(약 595㎡)이 있다. 기계실과 화장실, 2개의 굳게 닫힌 철제 출입문이 갖춰져 있다. 이 공간에는 벙커 발견 당시의 사진 등이 전시돼 있다.


시는 이 지하벙커를 시민들에게 개방하기 위해 지난 3월부터 현장조사, 안전점검, 안전조치 등을 실시했다. 지하공간은 30㎝ 정도 침수돼 있었지만 진단 결과 안전에는 지장이 없는 C등급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시는 배수펌프와 환기시설 설치 등 기본적 안전조치를 취하고 석면자재 740㎡를 완전 철거했다.


시는 10일부터 내달 1일까지 시범 개방, 사전 예약을 통해 주말 동안 둘러볼 수 있게 했다. 시는 시민 아이디어를 받아 벙커 활용계획을 마련, 내년 10월에는 전면 시민에 개방할 계획이다.


김준기 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여의도 지하 비밀벙커는 역사적 의미와 가치가 있는 공간이지만 장기간 사용되지 않고 잊힌 공간이기도 하다"며 "역사적 특성을 보존하면서도 지역적 여건을 고려한 시민 공간으로 조성해나가겠다"고 말했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