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압구정아파트 분신 경비원, 사과 커녕 문병도 못 받았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경비노동자 사회적 인식 개선 필요…처우개선·고용안정도 필요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입주민의 폭언 등에 시달린 아파트 경비원의 분신 자살 시도 사건 이후 경비노동자의 노동인권 문제가 사회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이 사건의 '가해자'는 병문안조차 하지 않고, 해당 아파트 단지 입주자대표회의는 책임을 방기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8일 '신현대아파트 경비노동자 분신사건 해결과 노동인권 보장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에 따르면 가해자라고 할 수 있는 A씨는 사과는커녕 병문안조차 하고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경비노동자들의 실질적 사용자라고 할 수 있는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도 이번 사건을 '개인의 문제'로 규정하며 공식사과 없이 다만 치료비 모금운동을 전개하겠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분신사건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면서 민주노총 서울본부, 서울일반노조, 참여연대, 한국비정규노동센터 등은 이날 오전 공대위를 구성하고 진심어린 사과와 해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공대위는 "이번 사고는 갑ㆍ을ㆍ병 사회에서 '병'의 위치에 놓인 경비노동자의 현실이 한국 사회의 민낯으로 적나라하게 드러난 사건"이라며 "사과는 커녕 병문안도 하지 않는 가해 입주민과 입주자 대표회의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경비노동자에 대한 횡포를 멈추고 개선책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입주자대표회의의 공식 사과 ▲분신사건 사고수습 대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 ▲입주민 인식전환을 위한 교육ㆍ캠페인 개최 ▲경비ㆍ시설노동자들의 고용안전을 위한 체계(단협, 규정 등) 마련 등을 요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여한 안진걸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분신 원인을 제공한 A씨는 물론 입주자대표회의도 넓은 의미에서는 '가해자'일 수 있지만, 이들은 사과는커녕 책임을 회피하고 피해자를 원망하는 상황"이라며 "입주자대표회의, 넓게는 우리 사회 전반에 청소ㆍ경비ㆍ주차관리 등 힘들지만 가장 소중한 노동을 하고 있는 이들을 존중하고 노동의 가치를 인정하는 캠페인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남신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소장도 "경비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처우 개선과 고용안정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돼야 한다"며 "실질적인 사용자인 입주자대표회의가 좀 더 사회적인 책임을 느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한편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아파트 단지에서 근무하던 경비노동자 이모(53)씨는 입주민 A씨의 잦은 괴롭힘과 폭언 등에 견디다 못해 지난 7일 분신 자살을 기도했다. 이 사고로 이씨는 전신에 3도 화상을 입어 병원으로 후송돼 목숨을 건졌으나 심한 부상을 입은 탓에 6000여개의 피부 조직을 이식한 데 이어 최소 7~8회의 수술과 지속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