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처 요구 2014년도 예산 364조7000억원..6.6% 증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지난달말까지 각 정부부처가 제출한 2014년도 예산·기금의 총지출 요구규모는 364조7000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예산안 342조원(추경 제외)에 비해 22조7000억원(6.6%) 증가한 규모다.


9일 기획재정부는 각 부처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 요구규모는 260조원이고, 기금 요구규모는 104조7000억원으로 내년도 총지출 요구규모는 364조7000억원이라고 밝혔다.

예산 비중이 가장 큰 분야는 복지예산이다. 기초노령연금, 4대연금 급여 등 의무지출이 늘어나면서 내년도 복지 분야 예산 요구액은 총 108조4000억원에 이르렀다. 올해 복지 예산 97조4000억원에 비해 11조원 늘어나 가장 큰 증가액수를 기록했고, 증가폭도 11.3%로 교육예산에 이어 두번째로 컸다.


부처 요구 2014년도 예산 364조7000억원..6.6% 증가 ▲2014년 분야별 요구현황 (자료 : 기획재정부)
AD

교육 예산은 올해 49조8000억원에서 58조3000억원으로 17.1% 증가했다. 기재부는 지방교육교부금, 지방교육교부금 소요 국고지원 요구 등으로 증가폭이 컸다고 설명했다.


또 2014년 국방예산 요구액은 36조9000억원으로 올해 예산에 비해 7.4% 늘었고, 연구개발(R&D) 부문 요구액은 17조8000억원으로 올해 예산보다 5.7% 증가했다.


반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요구액은 큰폭으로 감소했다. 올해 SOC 예산은 24조3000억원인데 반해 내년도 요구액은 21조2000억원으로 12.9% 줄어들었다. 또 산업분야 예산도 올해 15조5000억원에서 내년도 14조4000억원으로 7.4% 감소했다.


기재부 예산실 관계자는 "국정운영기조에 맞춰서 예산 배분구조를 조정할 예정"이라면서 "창조경제 기반 조성을 뒷받침하고, 일자리 창출을 유도할 수 있는 재정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재부는 각 부처의 요구안을 기초로 9월말까지 정부안을 마련해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국회에 제출되는 정부안은 이번 부처 요구액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2013년도 예산 편성 당시에도 당초 각 부처 예산 요구액은 346조6000억원이었으나 기재부를 거쳐 342조5000억원으로 줄었고, 국회에서는 다시 5000억원이 감소해 342조원으로 최종 결정됐다.




세종=이윤재 기자 gal-r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