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엘리트·전문성…청와대 추가인선, '朴키워드' 재확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조원동·최순홍에 '경제朴心' 실어

[아시아경제 김효진 기자] 엘리트ㆍ관료ㆍ전문성ㆍ실무형이라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인사 키워드가 19일 청와대 수석 후속 인선에서 다시 확인됐다. 내각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청와대의 위용이 갖춰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핵심은 경제수석과 미래전략수석으로 보인다. 조원동 경제수석 내정자(현 한국조세연구원장)는 정통 경제관료 출신으로 국정ㆍ행정에 대한 이해도가 뛰어나다는 평가다.

대내외적으로 악화된 경제 상황을 풀어내는 데는 안정감 있고 숙련된 관료 출신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박 당선인의 의중이 반영된 결과로도 풀이된다.


조 내정자는 재정경제부 정책기획관ㆍ경제정책국장, 국무총리실 국정운영실장 등 경제정책과 국정에 관한 정부 요직을 두루 거쳤다.

특히 박근혜 당선인의 복지공약 이행을 위한 조세관리에 있어서 적임이라는 반응이다. 박 당선인은 자신의 복지공약 이행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으로 '세입 투명성 강화'를 꾸준히 강조하고 있다.


최순홍 미래전략수석 내정자는 박 당선인의 국정 키워드인 '미래창조' 정책을 실현해야 하는 중책을 떠안게 됐다.


박 당선인의 대선후보 시절 과학기술특보였던 그는 UN과 IMF를 두루 거치며 쌓은 국제감각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UN 사무국 초대 정보통신기술국장을 지낸 경험은 미래창조과학부를 필두로 정보통신기술을 한층 업그레이드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신성장동력을 발굴하려는 박 당선인의 구상과 부합한다는 평가다.


이정현 당선인 비서실 정무팀장이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발탁된 건 어느정도 예견된 결과다.


이 내정자는 친박 내부에서도 손꼽히는 박 당선인의 측근으로 분류되며 지난 총대선 과정 내내 박 당선인의 '입'으로 활동했다.


인수위 기간 중에는 박 당선인의 주요 인선 검증 작업을 실무 지휘하며 잇단 인사파동을 수습하는 데 앞장섰다는 평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여성ㆍ문화분과 간사인 모철민 교육문화수석 내정자는 문화관광부 관광기획과장ㆍ관광산업본부장,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국장ㆍ문화콘텐츠산업실장ㆍ제1차관, 대통령 관광체육비서관, 예술의전당 사장을 두루 거친 문화ㆍ예술ㆍ관광 행정의 전문가다.


최성재 보건복지수석은 '박근폐표 복지'로 불리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정책의 밑그림을 그렸다.


인수위 고용복지분과 간사로 일하면서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자와도 호흡을 맞춰봐 '박근혜 정부'의 고용ㆍ복지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누구보다 높다.


주철기 외교안보수석 또한 정통 외교관료 출신의 안정감과 전문성이 무엇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김효진 기자 hjn252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