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나라 성인 55% "초중고생 인성·도덕성 수준 낮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교육현안 중 가장 시급한 문제 1위 '학생의 인성·도덕성 약화'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우리나라 성인들의 절반 이상은 초·중·고등학생들의 인성과 도덕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교육개발원이 지난해 전국 성인 1800명을 대상으로 한 '2012 교육여론조사'에 따르면 55.1%인 991명이 우리나라 초·중·고생의 인성과 도덕성 수준이 '낮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19~29세(57.3%), 30대(58.6%), 40대(50.8%), 50~64세(54.3%) 등 전 연령대에서 학생들의 인성과 도덕성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생들의 인성과 도덕성 수준이 '매우 낮다'고 답한 응답자도 9.1%(164명)나 됐다.


이중 초·중·고생 자녀가 있는 학부모들 중에서는 49.4%가 학생들의 인성과 도덕성 수준이 낮다고 평가했다.

반면 초중고생의 인성·도덕성 수준이 '높다'는 응답은 9%(162명), '매우 높다'는 응답은 0.2%(3명)에 그쳤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35.6%(641명)였다.


이에 따라 학교에서 지금보다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현재보다 중시해야 할 교육 내용으로 초등학교는 1위가 인성교육(45.6%), 2위가 창의성교육(31.8%)으로 나타났다. 중학교는 인성교육(39.5%), 성교육(10.6%), 민주시민교육(10.5%), 고등학교는 인성교육(27.3%), 진로교육(25.1%) 순을 보였다.


또 최근 교육현안 중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학생의 인성·도덕성 약화'가 35.8%(644명)를 차지해 1순위로 꼽혔다. 이어 학교폭력(34.5%), 높은 교육비 부담(11.6%), 교권 약화(7.2%), 학생 인권 약화(6.8%) 순이었다.


학교폭력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대중매체의 폭력성'이라는 응답이 37.6%(676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정교육 부재(24.3%), 학교의 폭력방지 노력 부족(23.6%), 점수 위주의 입시 경쟁체제(7.7%) 등의 순을 보였다. 교사가 운동장 뛰기, 교실 뒤 서 있기 등 간접 체벌로 학생을 지도하는 '교육벌'에 대해서는 84.8%가 찬성했다. 반대한다는 응답은 14.2%였다.


교육개발원 관계자는 "지난해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하게 드러나 상당수 국민이 학생의 인성·도덕성 강화를 시급한 과제로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학생의 인성·도덕성을 강화하고 학교폭력을 해결하는 교육정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민서 기자 summ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