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유시민 "참여당의 성공 처음부터 의문이었다"..진보정당 통합 제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진보정당과 통합 무산될 경우 연대연합 노선으로..." 민주당과 통합 가능성 일축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4ㆍ27 김해을 보궐선거 패배 이후 당 노선을 놓고 침묵을 지켜왔던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가 7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과의 통합을 공식 제안했다.

유 대표는 이날 '당진로 토론발제문'을 통해 "참여당은 '현실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최대한의 진보'를 지향하며, '다수 국민의 사랑과 지지를 받아 직접 국가권력을 운영할 수 있는 대중적 진보정당'이 되고자 하는 정당"이라며 진보통합연석회의 참여 의사를 밝혔다.


다만, 그는 "민노당, 진보신당 등 기존의 진보정치세력이 민주당과의 차별화에 중점을 두고 정부의 정책에 강력하게 반대하는 활동에 집중하는 이른바 '소수파 전략'을 그대로 이어가면서 단순히 합당을 하는 것이라면 우리당이 함께 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그분들이 대중적 진보정당으로 변화해 스스로 국가권력 운영을 맡으려는 집권전략으로 나아갈 의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면 참여당이 함께 하는 문제를 검토해 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노당과 진보신당이 통합하는 진보정당에 참여당이 합류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진보신당은 참여당과의 통합에 부정적인 기류가 강하기 때문이다. 특히 자유무역협정(FTA)을 신자유주의의 산물로 규정하며 협정 반대를 주장하고 있는 진보정당과 참여당의 간극을 좁히기 어렵다는 것.


한때 '동지'로 한 둥지 안에서 정치를 해온 민노당과 진보신당과의 통합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양당은 9월까지 통합하기로 합의했으나 대북문제 등을 놓고 진보신당 부대표 4명 중 3명이 합의문 승인을 하지 않겠다고 성명까지 발표했고, 민노당 내부에서도 합의문 추인을 위한 대의원 3분의 2 찬성표 확보가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편, 유 대표는 "참여당의 꿈은 아름답지만 과연 성공할 수 있을지는 처음부터 의문이었다"면서 "거대한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있고, 복수의 진보정당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참여당이 세력을 모으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고 토로했다.


그는 "참여당은 당장은 꿈을 실현할 역량이 크게 부족하고, 가까운 미래에 그 역량을 구축하기도 어렵다"며 "이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참여당에 대한 국민 지지율은 5% 남짓한 수준에 머물러 있고 당원의 수는 5만 명 문턱에 멈춰서 있으며, 당비와 국고보조금으로 최소한의 일상적 당 운영을 하기 어렵다"며 "총선 출마 희망자들이 새로 입당할 가능성도 별로 없고 당원 모집, 인재 영입, 정책 개발 능력 확대 등도 단기간에 진전을 이루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유 대표는 또 진보정당과의 통합 논의가 무산될 경우 "자연스럽게 (통합을 위한) 토론을 종결하고 기존의 연대연합 노선으로 복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혀, 민주당과의 통합 가능성을 일축했다.




김달중 기자 da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