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BOJ 보유자산규모, ECB도 앞질러…아베 양적완화 영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니혼게이자이 "Fed·ECB 금융정책 정상화에도 나홀로 양적완화"
"경기침체시 대응여력 자유롭지 않아"

BOJ 보유자산규모, ECB도 앞질러…아베 양적완화 영향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일본은행(BOJ)의 보유자산 규모가 유럽중앙은행(ECB)의 자산규모를 넘어섰다. 2008년 리먼브러더스 파산으로 촉발됐던 금융위기가 봉합된 후 각국 중앙은행들이 통화정책을 정상화했지만, BOJ만 국채매입을 중심으로 양적완화를 지속했기 때문이다.


1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BOJ의 총 자산은 지난 7월 말 기준 5조2340억달러(약 6215조3700억원)로 2년3개월만에 ECB의 총 자산(5조2080억달러)을 앞질렀다. 8월의 경우에도 BOJ 자산은 5조3880억달러를 기록, ECB(5조1470억달러)를 넘어선 상태를 유지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BOJ의 자산 비율도 압도적이다. Fed는 GDP 대비 20%, ECB는 GDP 대비 40%의 총 자산을 갖고있지만 BOJ의 총자산은 일본 GDP와 거의 비슷한 규모다.


각국 중앙은행들이 금융위기 이후 정상화 절차를 밟았지만, BOJ만 양적완화를 지속한 것이 주된 요인이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중앙은행들은 국채 등 자산을 대량으로 사들이며 양적완화를 시작했다. 시중 유동성을 늘려 금리를 내렸고, 얼어붙은 경기를 뒷받침했다. 주요 중앙은행들이 과감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세계 경제는 평온을 되찾았다.


상황이 해결되자 중앙은행들은 금융정책 정상화에 나서기 시작했다. Fed는 2017년 10월부터 보유자산을 축소하기 시작했고, ECB는 지난해 말 양적완화를 종료했다.


그러나 BOJ는 홀로 다른 행보를 보였다. 아베 신조 정권 출범 후 2013년부터 시작한 '양적·질적 금융완화'를 통해 오히려 국채 매입을 늘렸다. BOJ는 2013년 연간 국채매임 규모를 직전해 23조엔에서 50조엔 수준으로 두 배 이상 높였다. 2014년에는 국채매입 규모를 연간 80조엔 수준으로 키웠다. 2017년 이후에는 국채매입 규모를 줄였지만 여전히 상장지수펀드(ETF)나 부동사투자신탁(REIT)을 포함한 대규모 자산을 갖고 있다.


니혼게이자이는 "통화정책을 정상화했던 ECB나 Fed 등은 다시 양적완화에 나설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BOJ는 양적완화를 지속해 왔기 때문에 정책을 내놓기 어려운 입장이 됐다"고 우려했다.


한편 일본은 최근 약 2년만에 미국 국채 보유국 1위 자리도 탈환했다. 최근 중국의 미 국채 보유량이 줄어든 반면, 일본은 보유량을 늘리면서 2016년 10월 이후 최대 수준까지 끌어올린 결과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일본은 지난 7월 기준 1조1300억달러 규모의 미 국채를 보유해 직전달(1조1220억달러) 대비 국채보유량을 늘렸다. 중국의 7월 미 국채 보유량은 1조1100억달러로, 직전달 1조1120억달러보다 소폭 감소했다. 중국의 미 국채 보유량은 2017년 4월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