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코프3' 국제 기준 6월 발표…제조업체 '발등의 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6월 IFRS 지속가능성기준위
스코프3 공시기준 발표 예상
제품 사용 후 탄소배출량 측정 어려움

'스코프3' 국제 기준 6월 발표…제조업체 '발등의 불'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겸 DX(디바이스경험) 부문장.[사진제공=삼성전자]
AD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국제회계기준(IFRS) 재단 국제지속가능성기준워원회(ISSB)가 오는 6월 '스코프3' 의무공시 규정을 발표할 전망이다. 스코프3는 제품 생산뿐 아니라 소비 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아우르는 말이다. 규정을 어기면 회사 브랜드 가치와 금융시장 신용도가 떨어져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국내 최대 제조업체 삼성전자를 포함한 주요 기업들은 아직 배출량 산정 방식, 저감 목표치, 공시 시스템 등을 담은 로드맵을 발표하지 못한 상태다.


ISSB는 6월 발표할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에 스코프3를 담을 가능성이 크다. 내년 적용될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도 스코프3 의무공시를 요구한다. 지난해 3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도 필요시 스코프3 내용을 공시토록 하는 '기후정보 공시기준 초안'을 내놨다. 공시 룰을 어겨도 경영진을 처벌하진 않지만 관세, 과징금, 금수 조치 등 제재를 할 수 있다. 업체들도 주가 하락 등 위험 회피 차원에서 기민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업들이 스코프3 대응을 안 하는 것은 아니다. 삼성전자는 온실가스 회계처리 및 보고기준(GHG 프로토콜)에 따라 스코프3 배출량을 산정해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플랫폼에 공개한다. SK하이닉스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스코프3 배출량을 공시한다. 2021년 기준 스코프3 배출량은 343만2777t이다. LG전자는 삼성전자와 마찬가지로 CDP 대응을 하면서 데이터를 내부 관리한다.

'스코프3' 국제 기준 6월 발표…제조업체 '발등의 불'

문제는 배출량 집계 방식, 저감 목표치, 공시 시스템을 종합한 로드맵을 공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발표가 더뎌질수록 협력업체 경영판단, 투자가 투자판단 등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로드맵엔 최소한 ISSB가 요구하는 공시 목록에 관한 정보를 담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공시 목록엔 구매원부자재·서비스, 연료·에너지 활동,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운송·물류, 폐기물, 임직원 출장·통근, 임차·임대자산, 판매 제품 가공·사용·폐기, 프랜차이즈, 투자 현황 등이 포함돼 있다.


첫 단계인 스코프3 배출량 측정부터 꼬이고 있다. 협력사 제조, 물류 과정에서 생기는 탄소(업스트림)보다는 고객 제품 사용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다운스트림) 측정이 더 어렵다는 전언이다. 측정 체계를 갖춘 뒤엔 공시 목록별 세부 목표치를 짜야 한다. 이 모든 작업을 협력사와 함께 진행해야 한다. 배출량 측정 시스템과 공시 목록별 저감 목표치 없이는 로드맵을 만들기 힘들다고 업체들은 판단한다. 삼성전자의 경우 업스트림 측정 체계는 어느 정도 갖춘 것으로 전해졌다. 협력사 배출량은 삼성전자와의 거래 비중이 상위 90%인 업체가 제품을 만들 때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집계하는 방식이다. 최근 3~4년간 연 1500만t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들은 "로드맵을 만드는 중"이라면서도 공개 시점은 밝히지 않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지난해 9월 발표 '신(新)환경경영전략'에 스코프3는 포함되지 않았다"며 "향후 스코프3를 포함한 탄소중립 목표를 수립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로드맵을 만드는 중이지만 언제 공표할지는 미정"이라고 말을 아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