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경기 침체 위험 높아"
달러화 약세 전망…금리 인하 시기 지연
주식 전망은 긍정적
JP모건이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침체 속 물가 상승)으로 미국 경제 성장세가 둔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JP모건은 이날 발표한 중간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1.3%로 전망했다. 이는 연초 제시한 2.0% 전망치보다 하향 조정된 것이다.
JP모건은 "관세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충격이 하향 조정의 주요 원인"이라며 "여전히 경기 침체 위험이 높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JP모건은 미국 성장세가 둔화됨에 따라 달러화가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외국인, 미 연방준비제도(Fed), 상업은행 등에서 미 국채 수요가 줄어들고, 미 국채의 기간 프리미엄(만기가 긴 채권에 추가로 요구되는 금리 수준)이 40∼50bp(1bp=0.01%포인트) 높아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상반기처럼 가파른 국채 금리 급등은 없을 것으로 봤다. 앞서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격 탓에 시장이 흔들리면서 미 국채 금리가 급등했었다.
JP모건은 올해 말 미국 2년물 국채 금리가 3.5%, 10년물 금리는 4.35%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기준 두 국채의 현재 금리 수준은 각각 3.76%, 4.27% 수준이다.
JP모건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미 경제 등을 고려하면 미국 기준금리가 올 12월부터 내년 봄까지 100bp 정도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에서는 9월 기준금리 인하를 점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등의 여파로 인하 시기가 미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만일 경기 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를 경우 기준 금리 인하속도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고도 했다.
지금 뜨는 뉴스
미 주식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했다. JP모건은 중대한 정책적, 지정학적 돌발변수가 없는 한 인공지능(AI) 주도의 강력한 펀더멘탈 등의 영향으로 주가가 신고점을 향해 갈 것으로 예상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