쌓인 눈 얼면서 위험↑…대비 필요
전국 대부분 지역에 설날인 29일 낮까지 눈이 계속 내릴 전망이다. 기온마저 내려가 쌓인 눈이 녹지 않아 더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28일 오후 4시 기준 경기 남서부와 충청, 호남, 경상, 내륙, 제주 등 대설특보가 유지 중인 지역을 중심으로 시간당 1~4㎝가량 강설량으로 눈이 쏟아지고 있다. 제주 한라산 삼각봉과 사제비 등에는 이미 초등학교 저학년 키에 육박하는 130㎝가량 눈이 쌓였다.
강원 고성군 향로봉과 횡성군(안흥면), 전북 무주군 덕유산, 충북 음성군(금왕읍) 등의 적설량은 40㎝ 안팎이다.
경북 봉화군(석포면)과 충북 제천시(수산면), 강원 평창군(봉평면) 등은 현재 30㎝ 안팎 규모로 눈이 쌓였다. 경기 안성시와 평택시, 충북 단양군 등의 적설도 25㎝ 내외다.
서울은 종로구 서울기상관측소 기준 적설은 2.1㎝다. 다만 관악구 13.7㎝, 강북구 7.1㎝ 등 일부 구마다 더 쌓인 곳도 있다.
경기 남부와 강원 내륙·산지, 충청, 호남, 경북 서부·북동 내륙, 경남 서부 내륙, 제주에 29일 낮까지 가끔 눈(제주는 눈 또는 비)이 이어질 전망이다.
나머지 지역은 28일 밤(서울·인천·경기 북부와 동해안) 또는 29일 낮(경북 서부 내륙 등을 제외한 영남권)까지 눈발이 조금 날릴 것으로 보인다.
29일까지 예상 추가 적설량은 제주 산지가 5∼15㎝로 가장 많다. 충청과 호남(전남 동부 남해안 제외)도 5∼10㎝ 쌓일 것으로 보인다. 충남권과 전북은 최대 15㎝까지 추가로 적설될 것으로 점쳐졌다. 나머지 지역은 제주 중산간(3∼8㎝)과 대구·경북 중부내륙(1㎝ 안팎)을 빼면 1∼5㎝ 정도 눈이 더 내릴 전망이다. 충청과 호남, 제주는 29일 아침까지 시간당 1∼3㎝씩 폭설이 쏟아질 수 있다.
쌓인 눈이 녹지 않는 것도 문제다. 현재 경기 북부·강원 내륙·산지·충북 중부·충북 북부·경북 북부 내륙·경북 북동 산지 등은 한파특보가 내려진 상태다. 아침 기온이 당분간 영하 12도 이하(강원 내륙·산지는 영하 15도 안팎)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중부지방과 전북 동부, 경북 북부 내륙 등도 낮 기온이 영하에 머무르는 상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적으로 29일 아침 최저 기온은 영하 13도~영하 1도, 낮 최고 기온은 영하 5도~영상 6도 수준으로 예상됐다.
서울은 영하 7도에서 영하 1도 사이, 인천은 영하 6도~영하 1도, 대전은 영하 6도~영상 1도, 광주·대구 영하 3도~영상 3도, 울산 영하 2도~영상 3도, 부산 영하 2도~영상 5도로 추정됐다.
기온이 낮은 가운데 순간풍속 55㎞/h(초속 15m) 내외 강풍이 더해져 체감 기온은 더 내려갈 전망이다.
전국 해안과 산지, 충북 일부, 제주 등에는 강풍특보가 내려졌다. 29일(강원 동해안·산지는 30일)까지 순간풍속이 시속 70㎞(산지는 90㎞)를 웃돌 것으로 예상돼 대비할 필요가 있다.
서해상·남해 서부 먼바다·동해 앞바다·부산 울산 앞바다·제주 앞바다(남부 앞바다 제외)에 29일까지, 남해 동부 먼바다·제주 남쪽 먼바다에 30일까지, 동해 먼바다에 31일까지 바람이 시속 30∼60㎞로 불 전망이다. 물결 높이도 1.5∼4.0m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서해 먼바다와 남해 서부 서쪽 먼바다, 남해 동부 바깥 먼바다, 동해 중부 먼바다, 동해 남부 바깥 먼바다, 제주 해상의 물결 높이는 최고 5.0m를 넘을 수 있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