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사태로 2030 신뢰까지 잃어"
"'탄핵의 강' 피하려다 '계엄 바다' 빠져"
"뼈 깎는 성찰 통해 당 재건해야"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여당의 위기를 언급하며 반성과 쇄신이 필요하다고 했다.
안 의원은 1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처절한 쇄신 없이는 당이 존립 위기에 몰릴 것'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그는 "비상계엄 이후 우리 당은 국민으로부터 더욱 멀어지고 있다"며 "보수 언론들조차 앞다투어 영남당, 극우 정당화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특히 이번 사태를 거치며 국민은 물론 2030세대의 신뢰도 잃었다. 그토록 전국 정당, 외연 확장을 부르짖었지만 당은 더 쪼그라들었다"며 "처절한 반성과 쇄신 없이는 당이 더 큰 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안 의원은 "우선 계엄의 바다에서 속히 탈출해야 한다. 당이 '탄핵의 강'을 피하려다 '계엄의 바다'에 빠졌다"며 "당내 탄핵 표결 과정, 그리고 당내 대통령 옹호 분위기에 대한 민심 이반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친윤당, 계엄옹호당으로 낙인찍히면 집권은 불가능하다. 계엄 사태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하고, 국민이 납득할 때까지 사과하고 혁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당내 민주주의가 보장돼야 한다. 우리 헌법과 우리 당의 목표인 자유민주주의 실현은 표현과 양심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당의 모습은 부끄러웠다. 당원으로서 제 선택에 대한 비판은 겸허히 듣겠다"면서도 "당내에 다양한 의견과 소신이 숨 쉴 때 우리는 더 강해질 수 있다. 우리 당은 이재명식 전체주의 민주당과는 다른 모습이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안 의원은 "국가비상사태를 수습하고 민생을 돌봐야 한다. 환율 주가 등 금융시장 불안과 내수 부진으로 여전히 민생이 위태롭다"며 "의료는 붕괴 국면에 처했고, 트럼프 2기 집권에 대한 대응도 사실상 중단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제 탄핵 심판은 헌법재판소에, 수사는 수사기관에 맡기고 경제와 민생을 챙기는 데 당이 앞장서야 한다"며 "야당이 정쟁을 부추겨도 우리는 의연하게 집권 여당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끝으로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포퓰리즘 폭주를 막고 대한민국을 건강하게 지켜낼 정당"이라며 "당이 바로 서야 대한민국도 미래를 기약할 수 있다. 당의 위기를 막으려면 지금부터 뼈를 깎는 성찰과 쇄신을 통해 재건의 방향을 잡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예원 인턴기자 ywj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