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대구시장·이철우 경북지사 등 서명
통합 후 대구시청, 경북 안동·포항청사 활용
대구와 경북이 수도 서울시의 위상에 준하는 '대구경북특별시'로의 통합에 한 걸음을 내디뎠다. 통합 지방자치단체의 명칭, 청사의 활용안 등을 담은 합의문에 시·도와 행정안전부가 서명하면서, 대구·경북(TK) 행정통합은 의회 의견 수렴과 법안 발의 등을 앞두게 됐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지사는 21일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에서 만나 '대구·경북 통합을 위한 공동합의문'에 서명했다.
앞서 이들 4개 기관은 지난 6월4일 TK 통합을 공식 추진하기로 협의했지만, 청사 위치나 시·군 권한 등을 두고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에 행안부가 이번 달 중재안을 제시하면서 협상이 급물살을 탔다.
이날 발표된 공동 합의문에는 TK 통합 추진을 위한 4개 기관의 역할과 대구·경북 간 7개 합의 사항을 담았다. 첫째로 대구·경북을 통합해 설치하는 지자체의 이름을 '대구경북특별시'로 하고 그 위상을 수도인 서울특별시에 준하도록 설정했다.
논란이 됐던 청사의 위치는 '현 대구시 청사, 경북 안동·포항 청사를 활용한다'고 합의했다. 다만 각각 청사의 소재지별 지역 특성을 고려해 기능을 배분하고, 청사 소재지에 따른 관할 구역은 별도로 설정하지 않기로 했다. 당초 대구는 행정통합특별법안에서 청사별 관할 구역을 정하는 안을 공개했지만, 경북은 '시·군 자치권 강화'라는 행정통합 기본방향에 맞지 않는다며 반대했다.
다음으로 대구경북특별시로 통합된 뒤에도 시·군·자치구가 종전 사무를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통합의 실질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대구경북특별시에 경제·산업 육성, 균형발전, 광역행정 등에 관한 종합계획 수립 등 총괄 기능을 부여하는 조치를 해야 한다고도 명시했다.
이 밖에도 ▲수도에 준하는 위상이 있는 부시장과 소방본부장의 직급과 정수 ▲양 의회 합동 의원총회 통해 의회 소재지 결정 ▲시·도의회 의견 청취 원칙과 주민 의견 수렴 노력 등 행안부 중재안에 담겼던 내용이 합의문에도 포함됐다.
대구·경북은 이날 발표한 공동 합의문을 토대로 신속하게 통합 방안을 마련해 정부로 건의할 예정이다. 이후 정부는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 협의체를 구성해 대구·경북 통합 지원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대구·경북 통합 지자체는 특별법 제정 이후 2026년 7월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