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루천자]박일환의 '의성의태어의 발견'<1>

시계아이콘01분 0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편집자주댕그랑댕그랑, 사부작사부작, 오롱조롱…. 우리말의 우수성 중 하나는 어휘가 매우 다양하면서도 풍부하다는 점이다. 그중에서도 의성의태어의 풍부함은 그 어떤 언어보다 월등하다. 그러나 아쉽게도 국어사전 안에만 갇혀 있는 의성의태어가 무척 많다. 시인이자 전직 교사인 박일환 작가의 <의성의태어의 발견>은 국어사전 안에서만 겨우 숨 쉬고 있는 의성의태어를 꺼내와 다양한 범주로 나눠 세심하게 풀어냈다. 독특한 의성의태어들이 탄생한 유래나 배경, 나아가 조어법까지 곁들임으로써 우리말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담았다. 일상에서 글을 쓰거나 대화를 할 때 이 책에 실린 의성의태어를 적재적소에 활용해보자. 리듬감과 생동감을 주는 의성의태어를 사용하면, 밋밋했던 말글이 한층 더 특별해질 것이다. 글자 수 827자.
[하루천자]박일환의 '의성의태어의 발견'<1>
AD

사람이나 사물의 소리를 흉내 낸 말을 의성어, 모양이나 움직임을 흉내 낸 말을 의태어라 한다. 국어사전의 뜻풀이에 ‘-는 소리’라고 되어 있으면 의성어, ‘-ㄴ/는 모양’이라고 되어 있으면 의태어에 해당한다. 의성어와 의태어는 분명히 구분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가령 ‘침을 꿀꺽 삼켰다’라고 할 때 ‘꿀꺽’을 의성어로 볼지 의태어로 볼지 딱 잘라 판단하기 어렵다. 국어사전에서는 그런 낱말들의 뜻풀이를 다음과 같이 처리해놓았다.


찰랑: 가득 찬 물 따위가 잔물결을 이루며 넘칠 듯 흔들리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의성어로 볼 수도 있고 의태어로 볼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래서 의성어와 의태어를 굳이 구분하지 않고 둘을 묶어 ‘의성의태어’라는 용어를 쓰는 게 일반적이다. 우리말로 ‘흉내말’이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

[하루천자]박일환의 '의성의태어의 발견'<1>

다른 나라의 언어에 비해 우리말은 의성의태어가 매우 발달했다. 그런 특성은 어떤 대상을 직접 보거나 소리를 듣지 않아도 충분히 실감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표현을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우리말에 의성의태어가 많은 까닭은 모음과 자음의 변화를 통해 형태가 다양한 계열어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가뭇가뭇’에서 모음을 바꾸면 ‘거뭇거뭇’이 되고, ‘거뭇거뭇’에서 자음을 바꾸면 ‘꺼뭇꺼뭇’이 되는식이다. ‘빈둥빈둥’이 ‘반둥반둥’과 ‘밴둥밴둥’, ‘번둥번둥’을 불러오고, 나아가 ‘삔둥삔둥’, ‘빤둥빤둥’, ‘뺀둥뺀둥’, ‘뻔둥뻔둥’, ‘핀둥핀둥’, ‘판둥판둥’, ‘팬둥팬둥’, ‘펀둥펀둥’까지 가지를 쳐나가는 걸 보면 경이로운 느낌이 든다. 이처럼 어감의 미묘한 차이를 드러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우리말이 지닌 의성의태어의 장점이다.


[하루천자]박일환의 '의성의태어의 발견'<1>

-박일환, <의성의태어의 발견>, 사람in, 1만7000원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