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루천자]박재희 교수의 '3분 고전'<4>-無用之有用

시계아이콘01분 0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하루천자]박재희 교수의 '3분 고전'<4>-無用之有用
AD
편집자주오늘 소개하는 필사 문장은 <장자> '인간세' 편에 등장하는 우화다. 구불구불하고 속이 텅 빈 나무가 하나가 있었는데 집 짓는 재목으로도, 관으로도 쓸 수 없어 내버려졌으나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은 덕분에 큰 나무로 자라났다. 쓸모없음이 도리어 쓸모 있음이 된 것이다. 인간의 기준으로 재단하는 유용(有用)과 무용(無用)의 경계는 결코 절대적일 수 없다. 당장 주목받지 못해도 때가 되면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듯이 우리 주변의 일도, 자녀도, 회사도 눈에 보이는 성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역발상의 지혜, 고전철학자 박재희 교수의 <3분 고전>이 추구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가치다. 글자 수 881자.
[하루천자]박재희 교수의 '3분 고전'<4>-無用之有用

무용지유용(無用之有用)

쓸모없는 것이 오히려 쓸모 있는 것이다.


쓸모 있는(有用) 것과 쓸모없는(無用) 것은 얼마나 다를까요? 인간의 눈으로 바라보는 유용과 무용의 경계가 절대적인 것 같지는 않습니다. 세상 사람들이 모두 쓸모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어쩌면 가장 쓸모 있을 수 있다는 무용지유용(無用之有用)의 철학이 <장자>에 나옵니다. 우리가 쓸모없다고 생각하는 것 속에 위대한 유용함이 들어 있다는 것입니다. 쓸모없음의 무용과 쓸모 있음의 유용 사이 경계를 허무는 이 무용지유용의 철학은 발상의 전환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한다는 장자 철학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장자><인간세> 편에는 다음과 같은 우화가 실려 있습니다. 남백자기라는 사람이 상구(商丘) 지역에 가서 큰 나무를 보았습니다. 얼마나 큰지 나무에 수레 수천 대를 묶어놓아도 수레가 전부 그 나무 그늘 안에 들어갈 정도였답니다. 그런데 그 나무의 가지는 구불구불해서 집 짓는 재목으로 쓸 수가 없고, 밑동은 속이 텅 비어 관이나 널로 쓰려고 해도 쓸 수가 없었습니다. 이렇게 쓸모없는 나무를 보며 남백자기는 외쳤습니다. "이 나무는 재목이 될 수 없는 쓸모없는 나무로구나(此果不材之木也·차과부재지목야)! 그러나 그 쓸모없음이 이 나무를 이렇게 큰 나무로 자라게 한 것이로다(以至於此其大也·이지어차기대야)!" 재목감이 아니라는 것이 대목(大木)으로 자랄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어릴 때는 주목받지 못하던 사람이 나이 들어 마음껏 재능을 발휘하는 것을 보면 이 무용지유용의 고사가 더욱 가슴에 와닿습니다. 우리의 자녀나 직원들, 당장 쓸모없다고 너무 다그치지 마십시오. 누가 압니까? 그 쓸모없음이 위대한 인물이 되게 하는 기반이 될지.


무용! 그 속에서 유용함을 발견해내는 힘이 바로 경쟁력입니다.



-박재희, <3분 고전>, 김영사, 2만2000원

[하루천자]박재희 교수의 '3분 고전'<4>-無用之有用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