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원양자원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는 게 정말 맞습니까" "상장공시위원회가 열리지도 않았는데 관리종목이 된다고 기사를 쓸 수 있나"
최근 기자는 중국원양자원 주주들로부터 이 같은 내용의 메일과 전화를 자주 받았다. 중국원양자원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는 기사에 대한 불만의 표시였다.
.
이들 주주는 한국거래소에서 유가증권시장 상장공시위원회를 열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고 단정 지을 수 있냐고 물었다. 공시위원회에서 관리종목 지정여부가 결정되는 것은 맞는 말이다. 그러나 중국원양자원은 관리종목 지정을 위한 여건을 채워 심사위 개최와 관계없이 관리종목행은 결론이 나 있었다. 공시위는 관리종목행을 위한 수순일 뿐이었다.
공시위 개최 전 중국원양자원은 총 3건의 공시 위반에 대해 벌점 30점을 받았다. 거래소 상장규정상 15점 이상의 벌점을 받으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여기에 장화리 대표의 고의적인 시세 조작, 공문서 조작, 선박 취득 가격 부풀리기 등 경영 투명성이 의심되는 다양한 의혹을 받고 있다. 중국원양자원은 공시위가 열리지 않더라도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밖에 없었던 배경이다.
이런 맥락에서 중국원양자원의 관리종목 지정 기사를 썼다. 그리고 공시위가 열리고 이변은 없었다. 중국원양자원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됐고, 공시위반 제재금 2억원도 부과됐다. 이는 거래소가 부과한 제재금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 예상보다 더 센 조치였다.
문제는 그간 중국원양자원의 행태를 보면 관리종목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데 있다. 거래소는 장화리의 허위공시 및 불공정거래 가능성 등 형사상 수사를 위해 금감원의 협조 의뢰와 검찰 고발 조치 등을 취했다. 문서위주 사안의 심각성과 국제적 범죄 위험성 등을 감안해 중국 현지 고발조치도 적극 고려하고 있다. 만약의 상장폐지 사태에 대비한 조치다.
주주들의 입장은 이해가 간다. 피 같은 돈으로 산 주식이 관리종목이 되면 폭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중국원양자원은 2009년 상장 당시 약 530억원, 지난해 유상증자로 102억원을 국내 증시에서 조달했다. 시가총액이 2000억원에 달해 상장폐지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한다면 손실 규모가 2600억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중국원양자원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후 재거래가 시작된 지난달 29일 거래제한폭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이후 2거래일 동안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롤러코스터를 탔다. 9일 현재 1470원으로 재거래 가격인 2045원 보다 28.22% 떨어졌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폭탄돌리기라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원양자원 주주들이 주가 폭락을 두려워해 자기들만의 위험한 거래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투자의 책임은 자기 자신에 있다. 펀드매니저도 증권회사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 오롯이 자기 몫이다. 제2의 고섬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단순한 경고가 아니다.
유인호 증권부 차장 sinryu00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